`한국인 17%가 변비로 고통`

중앙일보

입력

美 연구팀 7개국 조사결과 발표… 프랑스·영국 등보다 발병률 높아

한국인의 17%가 변비로 고통받고 있지만 병원에서 전문적인 치료를 받는 사람은 3명 중 1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미국 위스콘신의대 아놀드 왈드(Arnold Wald) 교수팀이 세계 7개국(미국.브라질.독일.프랑스.이탈리아.영국.한국) 1만3천879명을 대상으로 나라별 변비 유병률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유병률(17%)이 세계 평균치(12%)를 크게 웃돌았다.

베링거인겔하임의 후원으로 이뤄진 이번 연구결과는 최근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미국 소화기학회 학술대회에서 발표됐다.

한국은 이번 조사에 모두 2천명이 참여했다.

나라별 변비 유병률을 보면 미국(18%)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한국과 브라질이 각각 17%, 프랑스가 14%, 영국과 이탈리아가 각각 8%, 독일이 5% 등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 보면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 사람들의 변비 발병률이 유럽지역에 비해 2배 가량 높은 셈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주목할만한 점으로 많은 사람들이 변비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변비환자의 4분의1 가량이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했다.

실제로 한국의 경우 변비 환자 중 전문적인 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이 16%에 그친 반면 생활방식을 바꾼다거나 집에서 대체요법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67%나 됐다.

아놀드 왈드 교수는 변비 환자가 수분과 섬유소를 많이 섭취한다고 해서 변비 증상이 나아진다는 보장이 없는 만큼 적절한 처방을 받아 효과가 입증된 변비약을 사용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권고했다.

아주대 의대 소화기내과 이광재 교수는 "한국사람들은 김치나 된장 등 유산균 음식을 많이 섭취하고, 섬유질 음식도 많이 섭취하기 때문에 변비에 잘 걸리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이번 조사를 보면 오히려 한국인의 변비 유병률이 서양에 비해 높은 편"이라며 "이는 음식 이외에도 변비를 유발하는 많은 생활적인 요인들이 많음을 반증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