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증진센터 800곳 신설등 국민건강사업 대대적 실시

중앙일보

입력

비만 퇴치와 금연, 영양관리 등을 위해 정부가 대대적으로 나선다.

이를 위해 전국에 800여개의 건강증진센터가 설립되고 산모와 만 5세이하 영유아에 대한 영양관리도 정부가 직접 맡게 된다.

산모.영유아 지원은 보건소 등지에서 건강.영양 검진 결과 부족한 영양분을 보충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 분유 등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건강증진센터의 경우 영양사와 간호사 등이 상주하며 비만과 금연 상담은 물론 영양조절 사업까지 벌이게 된다. 이 곳을 찾으면 금연패치 등 상당수 물품도 무료로 받을 수 있다.

보건복지부는 올해와 내년 담뱃값이 각각 500원씩 인상되면 이를 통해 조성되는 1조5천억원의 건강증진부담금을 이용, 이같은 국민건강사업을 대대적으로 벌이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산모.영유아 지원사업은 이들의 편의를 위해 쿠폰을 발행, 철분과 단백질 등 부족한 영양분을 보충하기 위한 물품 구입을 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전체 산모.영유아중 절반이 혜택을 보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함께 인구 5만명을 기준으로 전국에 건강증진센터를 대거 설립, 국민 건강을 책임지는 핵심 역할을 맡도록 할 계획이다.

센터에는 영양사와 간호사는 물론 운동지도사와 보건교육사 등 5-6명이 상주하며 건강 관련 각종 상담과 교육을 실시하는 것은 물론 학교, 직장, 지하철 등으로 파견, 상담.교육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선 영양사와 간호사 등의 채용인력만도 5천명 가까이 된다.

또 지방자치단체가 공공 헬스장이나 피트니스 센터 등을 건립할 경우 예산지원을 해주되, 저소득층 등에 대해선 무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추진되고 있다.

복지부는 금연을 돕기 위해 직장인에게 1-3일 정도 금연 휴가를 주되 휴가자는 반드시 '금연 클리닉'에서 교육을 받도록 하고 유급휴가 비용은 정부와 사업주가 절반식 분담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기업 참여는 사업주가 자율적으로 결정토록 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복지부 관계자는 "담뱃값이 인상되면 그 재원을 활용, 국민건강사업을 대대적으로 전개할 것"이라며 "각종 사업에 대한 검토가 끝나면 내년부터 시범 실시하되 단계적으로 이를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