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처리장 방류수 기준치 6.4배 대장균군

중앙일보

입력

팔당.잠실 상수원으로 유입되는 하수종말처리장 방류수에서 기준치의 6.4배에 이르는 대장균군이 검출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서울환경연합은 지난 10일 상수원 유입 지역인 남양주.구리.용인.광주시, 가평. 양평군 등 17개 하수종말처리장 방류수를 한국환경수도연구소에 의뢰해 분석한 결과 7곳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대장균군이 검출됐다고 29일 밝혔다.

현행법상 하수종말처리장 방류수의 대장균군 기준은 1000개/㎖로 정해져있다.

이 단체에 따르면 대장균군이 가장 많이 검출된 곳은 용인시 용인 하수처리장으로 기준치의 6.4배(6천400개/㎖)가 검출됐고 광주시 곤지암 하수처리장에서는 5배(5천개/㎖)가 검출되는 등 최대 6.4배에서 최소 1.2배까지 검출됐다.

또 자외선 살균시설을 갖춘 7곳 중 구리(4천개/㎖), 가평(2천500개/㎖), 양평(1천200개/㎖) 등 3곳이 기준치를 초과해 살균시설 자체가 부실하거나 실효가 없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대장균 자체는 병을 일으키는 균이 아니지만 다른 해로운 병균에 의한 오염 가능성을 알려주는 오염의 지표로 사용된다.

서울환경연합측은 "대다수 처리장이 살균장치에 대한 실태파악이나 점검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상수원의 대장균 수는 병원성 세균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 만큼 관할부처의 집중점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