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증(耳鳴症, 귀울림)에 대한 전통 약초약국 처방

중앙일보

입력

귀울림(耳鳴)은 잠시 나타났다가 사라질 수도 있으며 지속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소리의 높낮이도 다양하며, 대개 한 쪽 귀에서 많이 나타나고, 혹은 양 쪽 귀에서도 들릴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원인은 청신경의 손상에 의한 것으로 중년이 되면 어느 정도의 퇴행성 변화나 손상으로 인하여 귀울림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청신경의 손상이 원인, 최근에는 소음이 문제로

최근에는 커다란 소음에 노출되는 것이 흔한 원인 중의 하나로서 산업소음, 시끄러운 음악과 스테레오 헤드폰 사용에 대해서도 주의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 외의 원인은 단순히 귀지가 막힌 경우로부터 심각한 질병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일반적인 예로는 감염, 고막천공, 중이강내 액체의 저류, 중이 이소골의 경화가 있고, 심각한 경우로는 동맥류, 청신경종양이 있습니다. 또한 알레르기, 고혈압(때로 저혈압), 당뇨병, 갑상선 질환, 두경부 손상, 약물 등과 연관되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원인이 다양한 만큼 정확한 진단을 요합니다.

치료는 청신경의 손상인 경우 대개 완치는 어려우나 원인이 발견된 경우에는 이의 제거가 근본적인 치료입니다. 이러한 원인을 찾기 위해서는 청각검사와 이명검사 이외에도 전산화단층촬영, 자기공명검사, 평형기능검사, 혈액검사 등을 시행한다고 하는군요. 대부분의 경우에는 약제의 사용이 도움이 되며, 사용되는 약제 또한 다양합니다.

귀울림은 주변이 조용할 때 특히 잠들기 전에 더욱 뚜렷이 귀울림이 들리므로, 라디오를 듣거나 시계소리를 들음으로써 귀울림이 덜 느껴지도록 합니다. 이렇게 귀울림과 유사한 잡음을 들려줌으로써 귀울림을 상쇄시켜서 느끼지 못하도록 하는 차폐의 방법도 사용합니다.

◇ 일상생활에서의 주의사항

-커다란 소리나 소음을 피해야 합니다.
-고혈압인 경우 치료를 해야합니다.
-염분 섭취의 제한.
-커피, 콜라 등의 과다섭취 제한합니다.
-음주와 흡연을 금합니다.
-과로를 삼가고 적당한 운동 및 휴식을 취합니다.
-스트레스를 감소시킵니다.
-기능한 한 소염제, 항생제, 진정제, 항우울제, 아스피린 등의 약제 투여를 피합니다.

◇ 민간요법

광나무
광나무(약명 : 여정실=열매를 말린 것)엑기스를 사용하는데 열매, 잎, 가지 등을 채취하여 깨끗하게 씻어 잘게 썰어 놓습니다.잘게 썬 것을 솥에 넣고 물을 적당히 부어 고약처럼 될 때까지 약한 불로 오래(약 24시간) 달입니다. 달인 것을 숟가락으로 떠서 물엿처럼 늘어지면 엑기스가 만들어진 것인데 이것을 깨끗한 용기에 담아 두고 1/2 큰 술씩을 더운물에 풀어서 마십니다.

소나무 꽃가루
소나무 꽃가루를 1회 약 10g 정도씩 1일 3회 꿀물에 타서 먹습니다.


신기가 허하여 귀에서 소리가 나며 앉았다 일어서면 앞이 잘 보이지 않고 어지러운 증상이 있을 때에는 잣 50~60알 정도를 짓찧어서 오미자 달인 물로 1일 3회 나누어 먹습니다.

기타
이명증(耳鳴症, 귀울림)에 도움이 될 만한 건강차로는 음양곽차, 산수유차, 산딸기차, 새삼차, 들국화차, 뽕잎차가 있습니다.

귓속에 매미와 개미를 넣고 다니시는 많은 분들의 쾌유를 기원하며...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