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도권 학교도 등교인원 3분의 1로 축소…고교는 3분의 2 유지

중앙일보

입력

지난 11월 대전 중구 동산고등학교 교실에서 학생들이 수업을 듣고 있다. 뉴스1

지난 11월 대전 중구 동산고등학교 교실에서 학생들이 수업을 듣고 있다. 뉴스1

8일부터 비수도권 지역의 사회적 거리두기가 2단계로 격상되면서 이 지역 학교 밀집도가 3분의 1로 축소된다. 다만 비수도권에선 이미 2단계 조치를 운영하는 지자체가 많아 학사 운영이 바뀌는 지역은 많지 않을 전망이다. 거리두기 2.5 단계로 격상된 수도권의 경우 지금처럼 등교 인원을 3분의 1 이내로 유지할 예정이다.

교육부는 6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격상 발표에 따라 비수도권 지역의 학사 운영 조치사항이 변경됐다고 밝혔다. 비수도권 유치원과 초·중학교의 경우 거리두기 2단계가 적용되는 8일부터 28일까지 등교인원을 정원의 3분의 1로 제한해야 한다. 고등학교는 기존처럼 정원의 3분의 2까지 등교할 수 있다.

다만 지역이나 학교 여건에 따라 유·초·중학교도 등교인원을 정원의 3분의 2 미만으로 확대할 수 있다. 정원 60명 이하의 유치원, 전교생 300명 내외의 초·중·고 등 소규모학교나 특수학교, 농산어촌학교의 경우 밀집도 기준 적용 여부를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지난 11월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서 어린이들이 하교하고 있다. 뉴스1

지난 11월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서 어린이들이 하교하고 있다. 뉴스1

교육부에 따르면 부산, 광주 등 일부 기초자치단체는 이미 이 같은 학사조치를 시행하고 있어 별도 조정이 불필요하다. 부산, 광주 등을 제외한 비수도권 지역의 경우 학사운영 변경을 위한 준비 기간을 거쳐 강화된 학교 밀집도를 적용할 계획이다.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의 경우 거리두기가 2.5단계 격상됐지만 이미 2.5단계에 준하는 학사 운영이 적용되고 있어 등교인원에는 변화가 없다. 서울은 이미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등교인원을 3분의 1로 제한하고 있으며 중·고교의 경우 7일부터 2주간 원격수업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경기와 인천도 현재 학교 밀집도 3분의 1을 준수하고 있다.

한편 교육부는 학기말에 학생평가와 기록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각 학교에서 평가 일정과 계획을 조정할 수 있다고 다시 한번 강조했다. 이와 함께 시도교육청, 관계부처, 지자체, 학교 등과 긴밀히 협력해 PC방·노래연습장·영화관 등 청소년 다빈도 이용시설을 집중 방역관리하는 등 안전한 학사 운영을 최대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김경미 기자 gae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