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파요법

중앙일보

입력

1. 정의

염파요법이란

(1) 대뇌에서 발생하는 염력을 이용

(2) 진동자를 통하여 환자의 질병을 진단하고 허실을 구별

(3) 염력을 강하게 발산시킬 수 있는 도구를 이용하여 염력을 계통적으로 전달

(4) 상대방의 대뇌를 자극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말한다.

2. 역사

(1) 전통민간 -- 기도, 기원, 안수.

(2) 동 양 권 -- 부적, 호신물, 호신장식, 굿.

(3) 수지요법 -- 1980년경부터 진동자의 구체적인 진단, 염파 전달,

효과반응 확인

3. 용어

(1) 염력

국어사전 : 어떤 일에 정력을 쏟아 수행하려는 마음

* 무엇을 하려는 생각이나 마음

* 모든 정신적인 생각을 한곳에 집중시킨다.

(2) 염파

여러가지 생각 중에서 어떤 특정의 생각하는 힘을 모아, 계통을 따라서 목적하는 곳으로 전달하는 것.

(3) 진동자

염력이나 염파의 파동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도구

4. 피진단체

(1) 직접진단

(2) 간접진단 : 인체모형, 수지침모형도, 해부학그림, 수지침 요혈도, 직접그림.

5. 치료위치

수지침 모형, 손그림.

상응요법, 보사법, 오치처방, 요혈처방.

6. 치료시 원기관리

(1) 서암뜸을 매일 3~5장씩 뜬다.

(2) 머리를 맑게 하기 위하여 수지침팔찌나 목걸이를 한다.

-- 정신 집중력과 머리가 맑아진다.

(3) 서암식을 먹는다.

-- 보통 때는 대왕식을 먹고, 장부허실, 운기체질에 따른 서암식을 먹는다.

(4) 서암반지나 수지침요법의 처방을 이용한다.

-- 원기가 허약한 사람은 염파요법을 이용하지 않는다.

염파요법은 많은 에너지 소모량 때문에 쉽게 피로하고, 심하면 쇼크현상이 일어나기도 한다.

7. 환자의 원기관리

(1) 항상 서암뜸을 뜬다.

(2) 수지침 팔찌나 목걸이를 한다.

(3) 서암식을 먹는다.

8. 진동자의 진단법

(1)정신적인 자세

1) 잡념이 있어서는 안된다.

2) 어떤 의지력, 선입감이 있어서도 안된다.

(2) 측정시의 자세

1) 가슴과 어깨를 펴고 허리를 펴고 똑바른 자세를 유지

2) 진동자를 너무 세게 지지말고 떨어지지 않을 정도로 한다.

3) 진동자의 위치는 앞가슴정도

4) 눈은 약간 아래로 내려 뜨고 진동자를 쳐다본다.

5) 오래 잡고 있으면 팔이 아프므로 왼손으로 오른손 팔목을 받쳐주어도 좋다.

(3) 측정시 주의사항

1) 빈혈이나 원기허약자, 정신력이 허약한 사람은 가급적 하지 말것

2) 정신이 산만하거나 원기가 부족할 때는 하지 않는 것이 좋다.

3) 고정상태로 2~3분 정도 가만히 있는 연습을 많이 한다.

4) 호흡조절을 잘한다.

(4) 측정실기

1) 잃어버린 물건을 찾는다.

2) 사람을 찾는다.

3) 각종 병리검사를 파악할 수도 있다.

4) 삼일체질을 진찰한다.

5) 상응점을 진찰한다.

6) 신체부위의 병위치를 진단.

7) 복모혈에서의 복진.

8) 기모혈에서의 진단..

(5) 효과유무판단

9.염파요법의 적응증

모든 인체의 질병치료에 효과가 있으나, 특히 신경성 질환, 정신적인 질환에 효과가 크다.

10. 염파치료의 장점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서 자극을 줄 수가 있다.

신생아나 아기들

중병치료

시간관계상, 거리관계상 직접치료 못할 때

11. 염파요법의 종류와 방법

(1) 기도의 염파요법 : 구체적이고 지속적이며, 간절한 기도요법이 필요하다.

(2) 부적의 염파요법

(3) 주문의 염파요법

(4) 해부학 그림의 이용법

진단과 치료, 보사법적용

(5) 손그림의 수지침처방 보사법

(6) 사진이나 염력을 강하게 발생시킬 수 있는 물건을 이용한다.

(7) 수지침모형의 염파치료

진동자로 진단, 처방

모형에 수지침이나 서암침으로 자침

효과가 매우 크고 우수하고 제일 빠르다.

12. 수지침모형도를 이용한 염파치료

(1) 좌우구분 정확히

(2) 30~40분 -- 중복치료는 염력이 분산되므로 효과가 떨어진다.

(3) 정확한 진단에 따라서 보사법을 쓴다.

(4) 반드시 맥진이나 복진, 압진, 또는 증상을 물어서 효과를 확인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