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화재배 AI와 함께하는 바둑 해설] “도저히 수긍할 수 없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7면

〈결승 1국〉 ○·양딩신 9단 ●·탕웨이싱 9단

장면 3

장면 3

장면 ③=흐름을 짚어본다. 흑1은 귀를 위협하는 요소다. 백2는 응수타진인데 흑3으로 받아 아무런 수단이 없다. 그렇다면 손해일 텐데 의외로 AI는 감점이 없다. 오히려 흑3 대신 A로 밀라고 한다. 박영훈 9단은 “흑A는 백B를 부른다. 인간은 도저히 둘 수 없다. AI의 주장이니까 이유가 있겠지만 가끔 이렇게 도저히 수긍할 수 없는 부분이 나온다.”고 말한다.  AI가 상수인 건 백번 인정하지만 도저히 따라 할 수 없는 부분도 있다.

4는 큰 곳이고 5의 마늘모는 AI가 좋아하는 수. C보다 한발 덜 가지만 백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미묘한 함축성이 있다. 역시 어려운 부분이다. 이제 흑이 좌하를 수습할 차례인데 타개의 첫수는 어디일까.

AI의 참고도

AI의 참고도

◆AI의 참고도=흑1이 놓쳐서는 안 될 타개의 급소다. 백2로 받으면 3을 선수하고 5로 뛰어나온다. 백이 약간 벌었다고는 하지만 아직 팽팽한 국면이다.

실전진행

실전진행

◆실전진행=탕웨이싱도 정확히 급소를 짚어갔다. 양딩신 쪽에서 백2의 강수로 비틀어 왔지만 3,5가 맥점이어서 무난히 탈출에 성공했다. AI의 참고도와 비슷한 점수를 받았다.

박치문 바둑 칼럼니스트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