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미향 정의연 횡령 의혹 사건, 서부지검이 맡는다

중앙일보

입력

반일동상진실규명공대위 회원들이 12일 오후 윤미향 더불어시민당 국회의원 당선자에 대한 고발장을 들고 서울중앙지방검찰청에 들어서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뉴스1]

반일동상진실규명공대위 회원들이 12일 오후 윤미향 더불어시민당 국회의원 당선자에 대한 고발장을 들고 서울중앙지방검찰청에 들어서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뉴스1]

정의기억연대(정의연) 상임대표였던 윤미향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 당선인을 둘러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부금 사용처 논란의 실체가 수사로 가려지게 됐다.

12일 대검찰청은 윤 당선인에 대한 횡령과 사기 혐의를 수사해달라는 시민단체의 수사 의뢰 사건을 서울서부지검에 배당하기로 결정했다. 이첩은 13일 이뤄질 예정이다. 서부지검은 현재 정의연이 명예훼손을 당했다며 류석춘 연세대 교수를 고소한 사건을 수사 중이다.

해당 의혹은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92) 할머니의 폭로로 시작됐다. 이 할머니는 지난 7일 “수요 집회에 참여한 학생들이 낸 성금은 어디 쓰는지도 모른다”며 “성금‧기금 등이 할머니들에게 쓰인 적이 없다”고 밝혔다.

논란이 커지자 정의연은 11일 기자회견을 열고 기부금을 투명하게 집행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국세청 홈택스 명세서에 기부금 개별 지출 항목 수혜 인원으로 ‘99명’ ‘999명’ ‘9999명’이 반복해서 등장하는 등 부정확한 부분이 드러났다. 또 기부수입의 41%를 피해자 지원 사업비로 집행했다고 주장했으나 영수증 세부 내용을 공개하라는 요구는 “너무 가혹하다”며 거부했다.

정의연 측은 “데이터가 깔끔하게 처리되지 못한 부분에 대해 사과드린다”며 “부족한 인력으로 일을 진행하면서 편의상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국세청은 정의연이 고의성은 없었지만 회계처리 과정에서 오류가 있었던 것은 분명한 만큼 이에 대한 수정 공시를 요구하기로 했다.

기자회견 후에도 논란이 가라앉지 않자 윤 당선인은 12일 페이스북을 통해 “6개월간 가족과 지인들의 숨소리까지 탈탈 털린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생각나는 아침”이라며 “친일이 청산되지 못한 나라에서 여성 평화 인권의 가시밭길로 들어선 사람이 겪어야 할 숙명으로 알고 당당히 맞서겠다”고 말했다. 이나영 정의연 이사장 역시 이날 라디오 방송에서 “성금이나 기부금 집행에 100% 일탈이 없었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다”며 “목적기금에 맞게 들어오는 기부금은 저희도 움직일 수 없다”고 밝혔다.

한편 윤 당선인은 이날 아동학대, 청소년 보호법 위반 혐의로도 고발당했다. 시민단체 ‘반일동상진실규명공대위’와 ‘바른교육권실천행동’은 “수요 집회를 통해 아동과 청소년들에게 전시 성폭력, 집단 강간의 개념을 주입하는 등 정서적 학대를 했다”며 서울중앙지검에 고발장을 제출했다. 중앙지검은 고발장 내용을 검토한 후 사건을 배당할 방침이다.

이가영 기자 lee.gayoung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