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장관 "해외 유입 증가해도 봉쇄는 없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16일 오전 서울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 내 중앙재난안전상황실 서울상황센터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대책본부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뉴스1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16일 오전 서울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 내 중앙재난안전상황실 서울상황센터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대책본부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뉴스1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13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해외 유입이 증가해도 국경 봉쇄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강 장관은 이날 오후 프랑스 공영방송 '프랑스24'와 인터뷰에서 '해외 유입을 막기 위해 더 강력한 조치를 취할 것이냐'는 질문에 "한국 정부의 원칙은 개방성"이라며 "사람들의 이동권을 존중한다는 원칙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모든 해외 입국자를 14일간 자가 또는 시설 격리해 모니터링과 필요시 진단검사, 병원 치료 등을 하고 있지만 원칙은 개방성을 유지하는 것"이라며 "대구·경북 지역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할 때도 봉쇄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밀집한 공간에 가지 않도록 강력하게 권고하고 있지만, 이동권을 제한하진 않는다"며 "의무 봉쇄는 정부 원칙에 반한다"고 부연했다.

한편 프랑스 정부는 오는 15일까지 이동제한령을 발령한 상태로,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이날 대국민 담화를 통해 연장 여부를 발표할 예정이다.

강 장관은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역량 배경으로 "2015년 메르스 당시 불투명했던 정부 대응 등 최근 경험을 통해 빠른 대응을 할 준비가 돼 있었다"면서 "투명하고 공개적인 방역으로 사회 경제적 파급을 줄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코로나19 확진자가 25명 증가했으며 이 중 해외 유입자는 16명이다.

강 장관은 북한 내 코로나19 확진자가 0명이라는 북한의 주장에 대해선 말을 아꼈다. 그는 "북한 내 확진자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게 공식 입장이긴 하지만, 불투명하고 폐쇄된 국가인 만큼 정보를 얻기 어렵다"며 "정부는 남북 보건 협력을 할 의향이 있고 북한에 제안도 했지만, 아직 아무런 긍정적인 답변을 받지 못했다"고 했다.

미국 진단키트 수출에 대해선 "지난달 한미 정상 간 통화를 계기로 미국 식품의약국이 신속하게 사전 승인을 했다"며 "미국뿐 아니라 다른 국가에도 많은 진단키트를 보내고 있다"고 부연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달 24일 문재인 대통령과 통화에서 한국산 진단키트 지원을 요청했다. 이후 외교부는 국내 3개 업체 제품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사전 승인'을 획득해 미국 수출이 가능해졌으며 오는 14일 수출길에 오른다.

권혜림 기자 kwon.hyer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