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총재, 투자 꺼리는 기업에 '야성적 충동' 주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이성태 한국은행 총재는 외환위기 이후 기업들의 보수적 투자성향 등으로 인해 성장잠재력이 저하되고 있다면서 기업들에 대해 '야성적 충동(animal spirit)'과 기업가 정신을 발휘한 적극적인 투자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28일 오전 제주 신라호텔에서 열린 '21세기 경영인클럽 제주포럼'의 강연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총재는 기업들의 위험회피 성향이 증대되고 보수적 경영행태가 확산되면서 1990∼1997년 설비투자 증가율이 연평균 9.6%였으나 1998∼2005년 4.3%로 떨어졌으며 고용도 정규직보다 임시.계약직을 선호하는 추세라고 지적했다.

그는 "96년 이전까지는 기업이 무모할 정도로 투자에 열심이었고 과도하게 위험을 감수했지만 지금은 지나치게 위험을 회피하고 안전한 쪽으로만 가려고 한다"면서 "이제는 위험을 피하기만 해서는 될 일이 아니며 위험을 어느 정도 감수하면서 투자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미국의 경제학자 케인스가 기업가의 직감을 '야성적 충동'이라고 표현한 것을 인용, 기업들이 불확실한 미래에도 불구하고 야성적 충동과 기업가 정신을 발휘해 위험을 감수하는 자세로 적극적인 투자에 나서줄 것을 주문했다.

또 기업들의 지배구조 개선과 정직한 회계처리, 정보공개.공시 확대 등을 통해 시장의 신뢰를 얻는 노력을 강화해야 하며 기술개발과 연구개발 투자를 통해 경쟁력을 높여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금융기관들도 외환위기 이후 대출위험 평가를 엄격히 안전자산 위주의 영업으로 변했다면서 "금융기관들이 영업을 50년을 해왔으면 50년 영업의 결과가 각종 정보나 데이터로 축적돼 있어야 하지만 불행히도 30-40년의 데이터가 누락돼 있으며 (이 때문에 지금의 금융기관들이) 리스크를 감수하지 않으려는 태도로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총재는 외환위기 이후 정부가 대규모 공적자금을 투입하고 복지지출을 늘리면서 재정 건전성이 악화되고 있다고 지적하며 정부가 중장기 계획하에 재정건전 기조를 유지하는 한편 공적연금의 수지 악화와 통일비용 등의 재정지출 수요에 대한 대비책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기업투자 환경을 개선하고 차세대 성장동력 육성을 통해 성장잠재력을 확충하는 한편 사회안전망 확충과 저소득층의 교육기회 및 취업능력 제고를 통해 경쟁열위 부문의 자생력을 배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해외소비지출이 늘고 고급 소비가 확산되고 있는 가계부문에 대해서는 소득수준에 맞는 합리적 소비와 적정한 부채관리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노사관계에 대해서는 상생의 정신에 바탕을 둔 노사문화의 선진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서울.제주=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