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문제] 정부 반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정부는 북한이 2일 "사용후 핵연료봉 재처리를 완료했다"고 한 것과 관련, "사실이 아닐 것"이란 반응을 보이면서도 6자회담 속개 등 향후 북핵 문제 해결에 미칠 파장을 분석하는 등 부산하게 움직였다. 그러면서 언론에 "사실관계가 확인될 때까지 사태를 기정사실화하는 것은 문제를 꼬이게 할 수 있다"며 신중한 보도를 부탁하기도 했다.

외교통상부 관계자는 "북한이 4월 이후 이 같은 발언을 죽 해왔다"며 "다만 달라진 것은 플로토늄 용도 변경을 언급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북한은 나름대로 미국의 대응을 끌어내기 위해 발언의 수위를 높인 듯하다"고 했다. 또 "북한이 한때 재처리 시설을 가동한 적이 있으나 현재까지는 더 이상 그런 징후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 우리 측 판단"이라고 말했다. 외교부는 그러나 어떤 식으로든 정부가 우려를 표명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란 분위기다.

통일부는 어느 부처보다 북한의 발언을 두고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통일부는 북한의 핵 관련 강성 언급이 주기적으로 이뤄져 온 데다 남북 화해협력 무드가 큰 기복 없이 조성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한 당국자는 "북한이 플루토늄 추출 등을 과장하려는 의도가 있다면 이는 2차 6자회담에 응할 것임을 시사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지 않느냐"는 낙관적 분석도 내놓았다.

국방부는 "북한의 핵 관련 동향은 미국의 대북 감시망이 가장 촉각을 세우는 분야"라며 "한.미 당국이 아직 파악하지 못한 비밀 장소에서 재처리했다면 몰라도 어렵지 않겠느냐"는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북한의 이 같은 주장이 만일 사실로 드러날 경우 '회담 기간에는 추가적인 상황 악화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는 대전제가 깨지는 만큼 6자회담 자체가 파국을 맞을지 모른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영종.강찬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