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의 양심」 어디갔나|「뒷문 입학」 의혹이 현실로 당국의 감독 소흘도 문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유명 대학의 입시 부정 사건이 잇따라 노출되고 마침내 현직 총장이 구속되는 사태로까지 번지자 대학 입시를 대학에 맡길 수 있느냐는 대학 불신의 소리와 함께 문교부의 감독 소홀에 대한 우려의 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일부 학부모들은 차제에 현재 대학에 맡겨진 입시 관리를 국가가 관리, 근본적인 입시부정을 없애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다.
또 교육 전문가들은 부정 입학의 대부분이 임시 성적을 종합 처리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조작해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면서 문교 당국이 공동 입시 처리 전산프로그램을 만들어 각 대학에 이를 이용토록 하는 등 당국의 감독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입시 부정과 관련된 기부금 대부분이 대학 운영비로 사용된 점을 감안, 입시를 둘러싼 뒷거래를 없애고 열악한 사학의 재정난을 타개하기 위해 일정 비율의 기부금 입학 제도를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문교부는 대책이나 사후 수습책도 세우지 못한채 남의 일보듯 오불관언이다.
문교부 오덕렬 대학 정책 실장은 1일 『이같은 사태가 벌어졌다고 대학의 자율적인 입시 관리에 문교 당국이 개입하는 것은 있을 수 없다』며 『입시부정이 대학 사회에서 발 붙이지 못하도록 학부모 등 사회가 감시하는 것만이 이를 막을 수 있다』고 했다.
문교부는 이와 관련, 뒤늦게 전국 대학의 90학년도 입시에서는 미등록자 보충을 위한 후보자 명단을 사전에 발표하는 등 입시 관리의 공정성을 확보토록 지시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