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교육부총리 적임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김병준 교육부총리 후보자는 4일 오전 11시10분쯤 노타이 차림으로 정부 합동청사에 출근했다. 교육부 관계자들이 하루종일 머물며 교육부의 현황에 대해 설명을 했다. 그는 "직원들이 부담이 느낄 것 같아 매일 출근하지는 않겠다"면서 오후 4시30분쯤 퇴근했다. 다음은 김 후보자와의 일문일답.(※는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편집자 주)

-교육에 대해서 잘 모르는 분이 교육부총리가 됐다는 지적이 있다.

"나를 교육 문외한이라고 하는데 절대 그렇지 않다. 나는 교수를 했고, 교육 관련 논문도 쓴 적이 있다. 교육인적자원부는 교육뿐만 아니라 인적자원을 개발하는 곳이다. 나는 인적자원에 대해 교수 때는 물론 (청와대) 정책실장 때도 관심이 있었다. (웃으며) 내가 자평하는 건 좀 그렇지만 내가 오히려 (교육부총리의) 적임자라고 할 수 있다."

-논문을 읽어봤는데 교육은 통제하면 안 된다고 돼 있던데.

"국가가 통제하면 화를 부른다. 교육뿐만 아니라 모든 분야가 그렇다. 하지만 시장에만 맡길 수는 없는 것 아닌가. 적절한 조정은 필요하다."

-어떻게 노무현 대통령과 인연을 맺었는지.

"노 대통령과 인연을 맺은 건 공동체가 형성돼서다. 노 대통령이 어려운 처지에 있을 때 마음이 통해 도와준 것이 인연을 맺게 된 배경이다. 교육도 공동체가 중요하다. 학교와 교사와 기업이 함께 공동체를 형성해서 가야 한다."(※김 후보자는 1992년 노무현 대통령이 만든 지방자치실무연구소의 소장을 93년부터 맡아 연을 맺었다.)

-일부 언론에 외국어고 지원 제한 정책을 철회할 것처럼 보도됐는데.

"나중에 종합적으로 입장을 정리해 밝히겠다고 했지, 정책을 바꾸겠다고 말하지 않았다."

-외고 문제는 아주 관심이 높은 사안이다.

"나는 워크숍을 좋아한다. 정책실장 재임 때도 기자들과 워크숍을 여러 번 했다. 교육 현안이 아주 많은데 나중에 (기자들과) 워크숍을 통해 토론해 보자."

-앞으로의 교육정책은.

"대학은 사회의 수요에 맞춰 인력을 양성해야 한다. 산학협력은 그래서 중요하다."(※김 부총리 후보자는 또 측근을 통해 '세금폭탄'이라는 발언을 자신이 하지 않았다고 밝혔음. 그는 '김 후보자가 이번 인사를 통해 심판을 받겠다고 했다'는 언론 보도에 대해서도 사실이 아니라고 밝혀 옴. 또 두 딸의 외고 진학과 장녀의 비동일계 진학에 대해서는 '당시에는 그런 제한이 없었다'며 문제가 되지 않는 것이라고 해명했음.)

양영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