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미정상회담 4월 중순 개최될 듯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11월 30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코스타 살게로 센터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만나 인사하고 있다. [사진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11월 30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코스타 살게로 센터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만나 인사하고 있다. [사진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간 한미정상회담이 다음달 중순 미국에서 열릴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와 미 백악관은 조만간 이를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회담 장소는 워싱턴이 될 공산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고위 소식통은 28일 "워싱턴을 29일(현지시간) 방문하는 강경화 외교장관과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 간에 이와 관련한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김현종 국가안보실 2차장도 30일 워싱턴을 찾아 찰스 쿠퍼먼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부보좌관 등 미 정부 관계자들과 한미정상회담 의제를 집중 논의할 방침이다.
소식통은 "두 정상은 지난달 하노이 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의 상황 전개에 대해 인식을 공유하고 새로운 정책 방향을 조율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워싱턴에서 개최, 조만간 발표 예정 #하노이 이후 정책 조율, 갈등 봉합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 간 정상회담은 유엔총회나 주요 20개국 회의(G20) 등 다자회의에서의 만남을 포함하면 이번이 7번째가 된다.
그동안 외교가에선 하노이 회담 직후 추진되던 한미정상회담이 늦어지면서 그 시기에 대한 궁금증이 컸다.
하노이 회담 직후인 지난달 28일 청와대 김의겸 대변인은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갖고 '가까운 시일 안에 직접 만나 보다 심도 있는 협의를 계속해 나가자'고 했고, 트럼프 대통령도 이에 동의하고 외교 경로를 통해 협의해 나가자고 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양국이 4월 중순 한미정상회담을 여는 쪽으로 의견을 모은 건 먼저 최근 불거진 한·미 공조 균열 논란을 서둘러 봉합할 필요성이 대두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한미 관계를 둘러싸고 미 행정부 뿐 아니라 의회와 싱크탱크에서도 "문 대통령이 북한의 비핵화보다는 남북관계를 우선시하는 것 아니냐"는 회의적 시각이 번지고 있기 때문이다. 워싱턴의 한 소식통은 "두 나라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같은 접근을 하고 있다는 점을 대내외에 과시하고, 나아가 한미동맹이 미국의 동아시아 안보의 '린치핀(linchpin·핵심축)임을 다시 트럼프 대통령에게 확인받는 게 한국으로선 최우선 과제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북미 간 대화 분위기를 이어갈 수 있는 동력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는 판단도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내년 대선을 앞두고 미국이 올 하반기 부터 본격적인 선거전에 돌입해 북미 협상이 관심사에서 밀릴 가능성이 큰 만큼 대화 분위기를 이어가게 하기 위해선 조기에 한미 정상이 만나 북한이 협상 테이블로 나오게끔 할 돌파구를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조만간 예상되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제재 완화'를 촉구하는 연합전선을 구축할 경우 북한의 비핵화 후속 협상 거부가 장기화될 수 있다. 김현종 국가안보실 2차장이 이번 주말 워싱턴 방문에 앞서 러시아를 비공개 방문한 것도 북·러 정상회담 움직임을 확인하고 러시아 측에 북한의 협상 복귀를 설득해달라고 요청했을 공산이 크다.

다만 지난 하노이 회담에서 드러났듯 트럼프 행정부는 일괄타결 방식의 비핵화, 즉 '빅딜'을 주장하며 북한이 요구하는 제재완화에 여전히 부정적이다. 미 의회에선 오히려 '제재 강화'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 이번 한미정상회담에서 어떤 합의점이 도출될지 주목된다.
워싱턴=김현기·정효식 특파원 luckym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