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임금 협상 계속 난항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은행 임금 인상 문제를 둘러싼 노·정간의 대결 양상이 주말을 넘긴 26일까지도 정부와 노조측의 강경 자세에 변화가 없은 채 아무런 타결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24일의 중앙 노동 위원회 중재가 또 다시 결렬되고,「3개 국책 은행 노조가 새로이 쟁의발생 신고를 낸 가운데, 사용자측은 2일 오전 은행장 회의를 갖고 재무부도 25일 오후 관계
기관 회의를 다시 열어 진행상황, 대책 방안등을 논의 했으나 협상의 실마리가 될만한 구체적 대안을 내지 못했다. 26일 오전 박종석 은행 감독원장 주재로 은행 연합회에서 열린 6개은행장 회의는 정부의 한자리수 임금 인상 억제 방침을 재확인하는데 그쳤다.
이날 회의에서 은행장들은 일단 정부의 한자리수 임금 인상 억제 정책을 받아들이고 이를 부장·지점장 등 간부 직원들로 하여금 조합원인 부하 직원을 상대로 설득시키는 방법을 26일부터 적극 펼쳐나가기로 했다.
은행장들은 또 27일 오전 10시에 있을 중앙 노동 위원회의 3차 조정회의에 일단 참석키로 의견을 모았으나 1,2차 조정 회의 때와 같은 안 (기본급 4·3% 포함 10%인상) 을 내기로했다.
한편 윤완섭 금융노련 위원장은 26일 오전 기자 간담회를 갖고 은행장들의 양심과 중앙노동위의 독립적 위치를 감안할 때 시은 임금 협상안은 당초 노사가 합의한대로 타결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27일 있을 중노위 3차조정에도 불구하고 은행측이 당초 합의안인 기본급 14·5% 인상안을 거부할 경우 파업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한국 노총은 26일 은행 임금 교섭에 대한 정부의 개입을 「노동계 전체에 대한 정부의 폭거」로 규정, 이날 오전 11시 20개 산별 연맹 대표자 회의를 갖고 공동 대응키로해 이 문제는 노동계의 연대 투쟁 양상으로 확산되게 됐다.
노총 집행부는 민간 은행 노사양측이 자율 합의한 내용을 정부가 백지화하도록 한 것은 위법적 3자 개입 행위라고 단정하고 이날 중 박종근 위원장과 2O개 산별 연맹 위원장단이 대통령에게 항의 면담을 요청, 면담에서도 정부조치가 철회되지 않으면 전조직력을 동원한 총파업도 불사하겠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