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씨 증언」 7월 추진 난항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7월로 예상되던 전두환 전대통령의 국회증언이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보여 정치권의 5공 청산 전망이 계속 불투명하다.

<관계기사 5면>
노태우 대통령은 4당 중진회의가 지난달 하순 전·최 전대통령의 1회 공개증언 원칙을 합의한 이후 자신이 직접 나서거나 민정당 당직자들을 내세워 전 전대통령 측과 접촉, 증언의 사전·사후 보장책을 야당 측과 논의했으나 별다른 진전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고위소식통은 6일 4당 중진회의의 활동과 때맞춰 노대통령이 경호실 고위간부를 백담사로 보내 전 전대통령에게 친서를 전달한데 이어 지난주 김윤환 민정당 총무를 백담사에 보내 국회증언 문제를 협의했으나 부정적인 반응을 들은 것으로 안다고 밝히고 『정부·여당이 전 전대통령과 야당의 요구를 절충해 국회증언을 실현하기까지는 아직도 난제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노대통령은 친서에서 국회문제는 직접 언급하지 않고 평화적 정권교체를 이룩한 전직대통령이 백담사에 은거해 불편한 생활을 하고 있는 현실을 지적하고 그 동안 충분한 배려와 안부를 전하지 못한데 유감을 표명한 것으로 안다』며 『김 민정 총무는 사전에 백담사와 충분한 협의가 없었고 구체적 사후 보장책이 없이 공개증언을 합의한데 대해 양해와 협조를 구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전 전대통령은 자신의 증언이 꼭 필요하고 단 한번의 증언으로 5공 문제를 종결할 수 있다면 증언에 응할 수 있으나 노대통령과 민정당의 의지와 대응방식을 신뢰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야당으로부터 증언방식과 사후처리 문제에 대한 확실한 보장을 받지 못한다면 자신의 증언이 사태의 종결이 아니라 오히려 악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 전대통령은 특히 자신이 증언에서 밝혀야 할 정치자금 모금, 광주사태 책임문제, 12·12와 5·17의 배경규명 등에 관해 노대통령의 입장을 물었으며 어떤 대답을 하더라도 이미 자신에 대해 왜곡돼 있는 국민여론에 부응할 수 없으리라는 지적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