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행사 고려된 듯 이전싸고 한국과 이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미국의 광주문화원폐쇄는 비록 잠정조치라 할지라도 그것이 준공관이라는 점, 그리고 반미감정이 깔린 데모·피습 등에 대한 보안미비등이 이유라는 점때문에 한미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주목된다.
미국무성은 9일 폐쇄와 관련한 논평을 통해 건물이 낡고 화재우려가 있다는 이유를 들면서『보안을 포함한 미기준에 적합치 않기 매문』이라는 대목을 덧붙였다.
경비문제와 관련, 미행정부는 오는 l7일 광주사태 9주년을 심각한 고려대상에 올렸던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문화원에 대한 위협은 지난 1월에도 발생, 당시 「니컬러스·밀리」주한미공보원 부원장은 잠정폐쇄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히기까지 했다.
그때 국무성 대변인은 폐쇄결정을 내린바 없다고 말하면서 『광주문화원시설과 직원에 대한 적절한 보호를 한국당국이 제공할 것이라는 확인을 기대해 왔다』고 덧불였다.
그러나 미국정부는 광주사태 9주년 등 앞으로의 사태는 이같은 한국당국의 확인이 기대될 수 없으며, 그렇다면 광주문화원이 반미감정폭발의 표적으로 악화되기 전에 시기를 앞당겨 미리 손을 쓰는게 적절하다고 판단한 것 갈다.
미국은 80년이래 문화원등 시설피습을 경험해오면서도 폐쇄조치는 취하지 않았다. 한국당국의 보호제공을 믿는 뜻이기도 하지만 한편 폐쇄조치를 취한다는 것은 압력에 밀리는 것일 뿐 아니라 앞으로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것이라고 풀의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더구나 광주문화원폐쇄 및 이전과 관련, 한미정부는 임차료문제등을 둘러싼 이견까지 빚고 있어 문제가 복잡해질 전망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