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黨 겨냥한 공격형 포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민주당과 '통합신당' 간 기싸움이 후끈 달아올랐다. 양쪽 모두 상대를 고립시켜야만 주도권을 잡을 수 있다는 계산을 하고 있다. 양당은 한치의 양보도 없는 치열한 경쟁과 대결로 치닫고 있다.

◇ 친盧 인사 전면에 세운 민주당=새 공동대변인의 원외 몫으로 유종필(柳鍾珌)씨를 23일 임명했다. 柳씨는 지난해 대통령 후보경선과 대선 당시 노무현 후보의 공보특보를 맡았던 친노(親盧)인물. 그러나 분당 과정에서 통합신당행을 택하지 않고 잔류했다.

그는 신당의 핵심인 4선의 이해찬(李海瓚.관악을)의원에게 도전장을 낸 상태다.

정치권에선 "신당을 겨냥해 대립각을 세우기 위한 전략적 당직 인선"이란 해석이 나왔다.

민주당은 이미 盧대통령의 선대위원장을 맡았던 조순형(趙舜衡)의원을 비상대책위원장에 내정했다. 역시 친盧 진영에 섰던 추미애(秋美愛)의원은 정균환(鄭均桓)총무가 사퇴할 경우 총무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김경재(金景梓)의원은 장재식(張在植)의원과 함께 사무총장 후보로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金의원은 盧후보 선대위에서 홍보위원장을 맡았었다.

秋.金의원이 당직에 임명될 경우 민주당의 주요 당직은 과거 친盧 인사들로 포진된다.

친盧 인사들의 전면 포진을 추진하는 데 대해 한 의원은 "추가 이탈과 내부동요를 막고, '신당=개혁세력, 민주당=반개혁 세력'으로 매도한 盧대통령의 주장에 쐐기를 박는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야3당 공조'논란=조순형 비대위원장은 교통방송에 출연, 한나라당.자민련과 민주당 등 야3당의 정책공조 가능성에 대해 "盧대통령이 민주당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아직은 우리가 집권당"이라면서 "그러나 대통령이 탈당하고 우리가 야당의 길을 택한다면 사안별로 협조할 가능성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하지만 김근태 신당 원내대표가 언급한 '총선 전 연합공천'주장에 대해선 "가능성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盧대통령이) 신당에 곧바로 입당하자니 노무현당이란 비판이 뒤따르고 해서 궁여지책으로 무당적 국정운영을 얘기하는 것"이라면서 "헌법이 천명하고 있는 정당정치 원리에 반하는 아주 잘못된 것인 만큼 대통령은 당적을 갖고 정당정치를 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내각제 개헌과 관련해선 "국가장래를 봐서 언젠가 내각제를 지향해야 한다"면서 "그러나 16대 국회는 개헌을 논의할 명분이나 자격이 없다"고 말했다.

신당은 대응 수위를 놓고 고심하고 있다. 김근태 원내대표는 "민주당을 공격할 생각은 없다"면서 "그러나 감정 때문에 민주당이 한나라당과 손잡는 것은 안 되며 문제점을 지적할 것"이라고 밝혔다.

천정배(千正培)의원도 "한나라당보다는 민주당이 개혁적이지 않으냐"면서 "민주당을 공격할 필요는 없다"고 주장했다.

이정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