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사행정 학생개입 엄단"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문교부는 대학생들의 지나친 학사행정 간여를 엄단하고 학내시위 등으로 인한 수업 결손을 최소화하도록 전국대학에 시달했다.
문교부는 특히 수업결손이 생길 경우 보충수업 이외의 가정학습·과제물 부과 등 변칙적인 학사운영은 인정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정원식 문교부 장관은 새 학기 개강을 앞두고 28일 오전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전국1백15개 대학 교무처·과장회의를 소집, 이같이 밝히고 대학의 학사운영은 학업에 정진하는 다수 학생을 중심으로 이뤄지도록 당부했다.
정 장관은 최근 대학생들의 총·학장 선출 참여요구, 등록금 동결과 관련한 과격행동, 신입생 오리엔테이션에서의 무분별한 북한 소개 등 현안문제와 관련해 각 대학이 허용여부에 대한 분명한 원칙을 세워 능동적으로 대처하도록 요청했다.
정 장관은 이와 함께 ▲학기 당 16주 이상의 실질 수업 확보 ▲수업방해 사태 발생시 단호하고 엄격한 조치로 수업결손 최소화. ▲엄격한 학점관리 ▲학사경고·유급제도의 철저 이행 등을 강조했다.
한편 문교부는 수업은 어떠한 사태에서도 실시하고 체육대회·축제 등 행사는 야간 또는 주말 등 교과 시간외에 실시하며 수업결손을 가정학습·과제물 부과 등으로 대체하지 말도록 지시했다.
문교부는 또 학사규정을 정비, 결원이 있을 경우 중도 수료자와 학사경고 제적자의 재입학을 허용토록 하고 편입학자에 대한 학력조회를 철저히 하도록 요청했다.
문교부는 이밖에 대학 전체의 교양과정 편성과 운영을 지원하고 조정하는 상설기구 설치·운영, 대학원의 학위 심사제도 강화, 우수한 시간강사의 전임 교원 임용, 사립대의 교수확보율 향상을 당부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