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총리회담 수락|2월8일 판문점서 예비회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북한의 연형묵 정무원총리는 16일 오전 강영훈 총리에게 서한을 보내 상방총리를 수석대표로 하는 남북고위급 정치군사회담을 받아들이고 이를 위한 예비회담도 개최하자고 제의해왔다.
연총리는 서한에서 『상호간의 비방중상과 상대방을 자극하는 대규모 군사연습중지문제를 비롯한 남북 사이의 정치·군사적 대결상태해소문제를 토의하기 외해 쌍방총리를 단장으로 하고 군실권자를 포함한 7명으로 구성되는 고위정치군사회담을 평양과 서울을 내왕하며 갖자』고 제의하고 차관급을 단장으로 한 5명의 대표를 오는 2월8일 오전 10시 판문점 남측지역에 파견하겠다고 밝혔다.
연총리는 『불안정한 정전협정을 공고한 평화협정으로 바꾸는 문제를 제약 당사자인 미국을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다』며 『조선반도에서 공고한 평화를 보장하는 문제는 북과 남, 미국이 참가하는 3자 회담을 통해서만 해결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연총리는 『북남고위급 정치군사회담에서는 쌍방이 해결해야하고 해결이 가능한 문제를, 다시 말해 상대방을 자극하고 정세를 긴장시키며 불신을 조장하고 충돌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들을 제거하기 위한 문제들을 협의, 해결하자』고 말했다.
연총리는 『경제회담의 재개문제는 북남 고위급 정치군사회담이 마련되면 스스로 해결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하고 『회담날짜까지 정하면서 귀측이 제의한 적십자 회담 재개문제는 행정당국자가 대행할 성격의 문제가 아니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우리측은 지난해 12월28일 강영훈 총리명의의 대북 서한을 통해 총리를 수석대표로 하는 7명의 대표가 참석하는 고위당국자회담을 서울과 평양을 오가며 열자고 제의하면서 의제로는▲상호비방 중상중지▲상호존중 및 불간섭▲다각적 교류 및 협력 ▲군사적 신뢰 구축▲정당회담개최 등5개항을 제시했다.
또 차관급을 수석대표로 5명의 대표가 참가하는 예비회담을 판문점 우리측 지역인 평화의 집에서 2월 초순 갖자고 제의했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