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격이 최선의 방어" 전략성공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고르바초프」소련공산당 서기장이 보수파 원로들을 정치국으로부터 제거하고 최고회의간부회의장(국가원수)으로 선출된 것은 장기전략 이라기보다는 선제공격으로 보인다고 모스크바의 분석가들은 말했다.
「고르바초프」서기장이 중앙위와 최고회의를 긴급 개최한데 대한 의구가 계속되는 가운데 모스크바에서는 그가 당 보수세력의 있을 수도 있는 공세에 반격을 가할 것이라는 추측도 나돌았었다.
85년3월 소련의 최고지도자가 된 이후 지난달 30일 정치국을 단호하게 개편함으로써「고르바초프」는 13인으로 구성된 소련의 최고권력기관내의 세력균형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오게 했다.
그는「브레즈네프」시대의 원로인「그로미코」와「솔로멘체프」를 은퇴시키고 크램린의 제2인자인「리가초프」의 직위를 바꿈으로써 이들의 권력을 무력화시켰다.
KGB(국가보안위원회) 회장인「체브리코프」가 1일 경질됨으로써 KGB는 더 이상 정치국내에 기반을 갖지 않게 됐으나「악렉산드르·블라소프」내상이 정치국 후보위원으로 선출돼 최고권력기관인 정치국에 발을 들여놓게 됐다.
동시에 정치국원을 12명으로 줄이고 개혁지지자인「메드베데프」를 정치국원으로 임명, 「고르바초프」파는 정치국내에서 다수세력을 점할 수 있게 됐다.
그러나 업저버들은「고르바초프」가 지난 16년 동안 정치국원으로 있으며 강한 지역세기력반을 가진 우크라이나 당 제1서기인「블라디미르·시체르비츠키」를 제거시키는데는 실패했음을 주목했다.
서방외교관들은「고르바초프」가 이론담당인「리가초프」에게 농업을 담당시킨 것을 87년10월「옐친」사건으로 야기된『리가초프」와의 싸움』에서「고르바초프」가 승리한 것으로 보고있다.
「고르바초프」가 왜 서둘러 국가원수 직을 차지했느냐에 대한 추측이 계속 나오고 있는 가운데 소련의 한 주간지는「흐루시초프」아들의 비망록을 발췌, 보도했다.
60년대 후반에 쓰여진『「세르게예비치·흐루시초프」비망록』은「흐루시초프」가 당 지도층을 신진세력으로 교체하려고 준비하는 동안 64년 중앙위에서 표결로 서기장의 자리를 물러나게 됐다고 분명히 시사했다.
「흐루시초프」는「브레즈네프」「이그나토프」「포드고르니」와 KGB가 공모, 자신의 아버지를 제거시켰다고 전했다.
【AFP 연합=본사특약】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