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단계 BK21' 74개 대학에 2조3000억 지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6면

올해부터 2012년까지 총 2조300억원이 74개 대학에 지원되는 두뇌한국(BK)21 사업 선정 결과가 26일 발표되면서 대학 간 희비가 엇갈렸다. 교육인적자원부는 이날 국내 대학의 연구 수준을 국제적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BK21 2단계(2006~2012년)사업 지원 대상자'를 발표했다. 1단계 사업은 99년부터 2005년까지 진행됐다.

대학별 연간 지원금은 서울대가 497억원(44개 사업단.팀)으로 가장 많고 ▶연세대 255억원(33개 사업단.팀) ▶고려대 200억원(28개 사업단.팀) ▶성균관대 158억원(28개 사업단.팀) ▶부산대 158억원(33개 사업단.팀) ▶한양대 154억원(28개 사업단.팀) ▶포항공대 119억원(9개 사업단.팀) 순이다.

특히 성균관대의 경우 대형 사업단 20곳이 신청서를 내 20곳 모두가 선정됐으며, 건국대는 19개 사업단.팀 중 14개가 선정돼 높은 선정 비율을 보였다. 이에 반해 중앙대의 경우 30개 분야에 신청서를 냈으나 불과 9개(20억원)가 선정됐으며, 서강대도 인문사회 분야에 지원한 사업단 네 곳이 모두 탈락하는 등 18개 신청 분야에서 10개만이 선정됐다.

사업신청서를 내고도 탈락한 17개대를 포함해 석.박사과정이 있는 전국 70개 대(전체 대학의 48.6%)가 단 한푼의 지원금을 받지 못하는 등 대학 간 격차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BK21 탈락 대학들은 7년간 석.박사 과정 학생을 모집하기가 쉽지 않다. BK21 지원금은 대부분 석.박사 과정 학생 지원(월 50만~90만원)과 박사후 과정 학생 지원(월 200만원), 계약교수 지원(월 250만원)에 쓰인다. 이 때문에 선정에서 탈락한 대학들이 선정 과정에 의문을 제기하는 등 불만이 커지고 있다. 또 대상자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일부 대학이 수치를 부풀린 자료를 제출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 전망이다.

엄상현 BK추진단장은 "신청서 가운데 일부 잘못 기재된 내용이 발견됐으나 고의성 여부가 파악되지 않아 탈락시키지 않고 지원금을 깎는 조치를 취했다"며 "심사 결과에 이의를 제기하는 사업단(팀)에는 채점 결과를 공개해 공정성 시비를 없애겠다"고 말했다.

한편 교육부는 5월 중에 선정 대학과 협약을 체결한 뒤 대학별 협약사항 이행 여부를 철저히 점검하고, 6~8월에 현장실사를 한다. 실사에서 제출한 사업계획서에 허위 사실이 나타나면 사업단(팀) 선정 취소 등 강력한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

특히 매년 평가를 통해 목표에 미달한 사업단(팀)에 대해 사업비 삭감 등의 조치를 내리기로 했다. 2008년과 2011년에는 '중간평가'를 통해 중요한 협약 내용을 이행하지 않은 사업단(팀)을 탈락시키고, 하위 사업단(팀)의 경우 새로 진입하려는 사업단(팀)과 경쟁하도록 할 계획이다. 자세한 내용은 조인스닷컴(www.joins.com) 참조.

강홍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