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피해 복구 힘을 모으자] 수출입 화물선적 비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태풍 매미로 파손된 부산항의 대형 컨테이너 크레인(갠트리 크레인)을 완전 복구하는 데 1년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돼 부산항의 컨테이너 물동량 처리가 장기간 차질을 빚게 됐다.

부산해양수산청은 14일 갠트리 크레인 11기의 파손 또는 궤도 이탈로 부산항 컨테이너 부두가 선석 기준으로 20%의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했다. 복구 비용으로만 5백45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했다.

10기의 크레인 중 2기가 파손되고 3기가 궤도를 이탈, 5만t급 4개 선석 중 2개 선석의 하역이 불가능해진 허치슨 부두(자성대 부두)의 경우 높이 42.7 m, 무게 8백t의 크레인을 철거하는 데만 45일이 걸리며 이 기간 50%의 부두 손실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허치슨 부두는 부산항 전체 물량의 16%를 처리해 왔다. 궤도를 이탈한 3기는 10월 말까지 수리를 마치면 정상 가동이 가능해진다. 수리 기간엔 감만 부두의 허치슨사 소속 크레인 1기를 옮겨 사용할 예정이다.

완전히 파손된 2기의 크레인은 당장 발주하더라도 1년 뒤인 내년 9월에야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알려졌다.

7기의 크레인 가운데 6기가 완전 파손돼 5만t급 3개 선석이 마비된 신감만 부두는 파손된 크레인 잔해를 철거하는 데 45일이 걸리며 그 기간 1기의 크레인으로 1개 선석을 가동하더라도 5만t급 이상 대형 선박 접안은 불가능하다.

삼성전자 등 주요 업체들은 부산항의 크레인 파손으로 화물연대 사태에 이어 수출입 화물 선적에 큰 혼란을 빚을 것을 우려하면서 정부에 조속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에 따라 해양수산부는 올 연말 광양항에 투입할 예정으로 제작 중인 크레인 3기를 연말까지 신감만 부두에 설치해 우선 사용한다는 방침이다.

최종 복구는 신규 크레인 제작이 마무리되는 내년 9월에나 가능할 전망이다. 이에 해양부는 부산항 각 터미널을 공용 부두화해 화물의 우선 순위에 따라 선석을 강제적으로 사용한다는 방침을 확정했다.

상황이 악화돼 부산항에서의 화물 처리가 불가능해질 경우 광양항 등 국내 타 항만을 이용하도록 해 물동량의 외국 이탈을 막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부산=강진권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