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 SW회사 선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6면

현대모비스가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회사로 거듭나겠다고 선언했다. 이를 위해 소프트웨어 인력을 5배로 늘릴 계획이다.

“2030년 차량서 SW비중 10 → 30%” #전문인력 5배로, 해외거점도 확대

현대모비스는 10일 미래 자동차 기술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연구개발(R&D)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직무교육 프로그램을 신설한다고 밝혔다. 또 현재 800여 명인 소프트웨어 설계 인력을 2025년까지 4000명으로 늘리겠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새 직무교육 프로그램인 ‘모비스 소프트웨어 아카데미’는 경기도 용인시 기술연구소에서 운영된다. 회사는 프로그램 구축에 14억원을 투자한다. 소프트웨어 전문 인력을 빠르게 늘리기 위해 400여 명의 연구원이 동시에 직무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아카데미에선 특히 센서와 인지·판단·제어 등 자율주행에 특화된 융합소프트웨어 과정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자율주행차의 작동 원리를 비롯한 기계 구조학도 배울 수 있다.

소프트웨어 관련 전문 인력도 크게 늘린다. 현대모비스는 최근 독일 콘티넨탈에서 소프트웨어 플랫폼 개발 등을 총괄한 칼스텐 바이스 박사를 상무로 영입했다. 소프트웨어 부문 경쟁력 강화를 위해 임원급 인물을 영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또 모든 연구진을 스스로 프로젝트를 주도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설계자로 육성해 관련 인력을 4000명까지 확보할 예정이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자동차 부품 회사가 IT 기업처럼 대규모 소프트웨어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 자체가 매우 이례적인 일”이라며 “자율주행과 커넥티비티 시대가 도래하며 소프트웨어의 비중이 높아진 만큼,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아카데미를 선제 구축했다”고 말했다.

국내 연구소의 소프트웨어 인력 확충 및 교육과 함께 해외 연구 역량도 키운다. 현대모비스는 인도연구소와 베트남 자율주행 데이터 분석센터를 소프트웨어 전문 글로벌 연구 거점으로 확대해 운영할 계획이다.

현대모비스 측은 “2030년이 되면 자동차 한 대에서 소프트웨어가 차지하는 비중이 현재의 10%에서 30% 수준까지 확대된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며 “우리를 비롯한 수많은 자동차·IT 기업들이 소프트웨어 부문에 대규모 투자를 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윤정민 기자 yunj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