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시민 “포털, 댓글로 영업…아웃링크 방식이 해결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jtbc '썰전' 방송 화면 갈무리]

[jtbc '썰전' 방송 화면 갈무리]

국정원 댓글조작 사건에 이어 최근 민주당원 댓글조작 사건까지 불거지면서 포털 댓글 문제가 사회 쟁점으로 떠오른 가운데 유시민 작가가 해결책으로 ‘아웃링크’(outlink) 방식의 기사 공급을 제안했다.

유 작가는 26일 방송된 jtbc ‘썰전’에서 포털 댓글 문제를 언급하며 “제가 보기에 바람직한 것은, 기사를 클릭하면 그 기사의 언론사 페이지로 연결돼 거기서 기사를 보고 댓글을 남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유 작가가 제안한 것은 ‘아웃링크’ 방식의 기사 공급이다. 현재 네이버는 일부 언론사에 전재료를 주고 ‘인링크’(inlink) 방식으로 포털 내 기사를 공급하고 있다.

인링크 방식은 포털에 송고된 각 언론사 기사를 네이버 자체에서 소비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용자 유인 및 체류시간 증가 효과를 갖는다.

특히 인링크 방식의 기사는 네이버가 자체 제공하는 ‘댓글 시스템’에 포섭돼 이용자 체류시간을 더욱 늘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jtbc '썰전' 방송 화면 갈무리]

[jtbc '썰전' 방송 화면 갈무리]

이날 유 작가 역시 이를 언급했다. 유 작가는 “댓글을 보면서 사람들이 머무는 시간이 길어진다”며 “그걸 가지고 (포털이) 여러 가지 영업을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포털 자체가 우리처럼 뉴스 편집하듯이 초기화면을 편집해 보여주는 나라가 없다”며 “그런데 우리나라는 한정식이다. 가보면 이미 상이 다 차려져 있다”고 꼬집었다.

이에 또 다른 출연자인 박형준 교수 역시 “(아웃링크 방식이) 대부분의 나라에서 하는 방식”이라며 “구글의 방식이기도 하다”고 유 작가 의견에 동의했다.

박광수 기자 park.kwangs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