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행자 해임안 수용 미뤄진 데 반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노무현 대통령이 김두관 행정자치부 장관 해임 여부를 10월 중순에나 결정하겠다고 하자 한나라당은 8일 盧대통령을 겨냥한 전면전에 돌입했다.

전날 盧대통령의 발언을 전해듣고 "헌법 정신을 짓밟는 처사"로 규정했던 한나라당은 이날 장외투쟁 등 모든 수단을 검토키로 했다.

한나라당의 긴급 의원간담회에선 "盧대통령과 직접 싸워야 한다"는 주장이 쏟아졌다. 또 국감과 당내 특위 활성화를 통해 盧대통령의 친인척비리 및 양길승 사건 등을 철저히 규명키로 했다. 최병렬 대표는 "이제 말이 아니라 행동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대통령의)자질이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홍사덕 총무도 "대통령을 직접 추궁하겠다"고 했다. 그는 "盧대통령을 상대로 싸울 수밖에 없다"면서 "대통령 친인척 비리와 관련한 인사들을 증인으로 채택, 관련 의혹들을 파헤치겠다"고 밝혔다.

또 "이원호씨의 50억원 대선자금 제공 의혹 사건은 대통령 자신이 잘 알고 있으므로 어떤 형식으로든 盧대통령에게 직접 묻고 추궁할 것"이라고 했다.

이날 안택수(安澤秀)의원은 "조만간 金장관 해임이 이뤄지지 않으면 국감 개시 전에 장외투쟁을 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장외투쟁에 대해 당 일각에선 '민생을 외면하고 국회를 포기했다'는 비판이 제기될 가능성을 의식하는 모습이다.

이 때문에 洪총무는 "장외투쟁을 하면 국회가 쉬는 주말에 한다는 원칙만 결정됐을 뿐 거리로 나갈지는 미확정"이라고 강조했다. 安의원 자신도 "국감은 포기할 수 없으므로 원내외 병행투쟁을 벌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나라당의 공세에 대해 청와대 유인태 정무수석은 "지금 상황은 한나라당이 불을 질러놓고 '불이야'하는 것과 같다"며 "국정혼란의 원인 제공자는 한나라당"이라고 맞받아쳤다.

한편 한나라당 '양길승 로비사건 진상조사단'은 이날 이원호씨가 지난해 12월 盧대통령의 아들 결혼식에 참석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또 盧대통령이 당선 후 李씨에게 감사장을 줬다고 조사단은 주장했다.

남정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