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이 부른 '고용 쇼크'…실업률 4.5% 17년만에 최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계산은 고객이   (서울=연합뉴스) 서명곤 기자 = 최저임금이 시간당 7천530원으로 16.4% 인상된 지 일주일이 된 7일 오후 서울 중구 무인화 편의점인 이마트24 조선호텔점에서 한 시민이 물품을 구입하고 있다. 최근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에 무인주문기 도입 매장이 확대되고 점원이 아예 없는 무인편의점과 무인주유소도 늘어나고 있다. 2018.1.7 seephot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계산은 고객이 (서울=연합뉴스) 서명곤 기자 = 최저임금이 시간당 7천530원으로 16.4% 인상된 지 일주일이 된 7일 오후 서울 중구 무인화 편의점인 이마트24 조선호텔점에서 한 시민이 물품을 구입하고 있다. 최근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에 무인주문기 도입 매장이 확대되고 점원이 아예 없는 무인편의점과 무인주유소도 늘어나고 있다. 2018.1.7 seephot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최저임금 인상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인식되는 업종의 일자리가 두 달 만에 26만개나 사라졌다. 취업자수 증가폭은 2년 연속 10만명대에 그쳤고 실업률은 3월 기준 17년 만에 최악 수준으로 치솟았다.

최저임금 연관 3개 업종서 2,3월에 26만명 고용 감소 #전체 취업자수 증가폭도 2개월 연속 10만명선 그쳐 #2개월 연속 고용쇼크...3월 기준 실업자수, 실업률도 2000년대 들어 최고치 #정부, “기저효과 감안시 실질 증가폭 20만명 이상”

통계청이 11일 발표한 2018년 3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도소매업과 음식 및 숙박업의 취업자수는 372만3000명으로 지난해 3월보다 각각 9만6000명과  2만명 감소했다. 이들 업종은 아파트 경비원 등이 포함된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과 함께 최저임금 인상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인식되는 업종이다.

이들 3개 업종은 2월에도 취업자수가 전년 동월 대비 14만5000명이나 감소했었다. 두 달 만에 이들 업종의 일자리 26만개가 날아간 셈이다.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이 고용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는 대목이다.

실제 전체 고용시장은 두 달 연속 쇼크 상태에 빠졌다. 3월 전체 취업자수는 2655만5000명으로 1년 전보다 11만2000명 증가하는데 그쳤다. 2월에는 취업자 수 증가폭이 8년여 만에 최소치인 10만4000명에 그쳤다. 2개월 연속 고용쇼크라고 부를 법한 현상이 발생한 상황이다.

전년 동기 대비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지난해 9월에만 해도 31만4000명이었다가 10∼12월에 3개월 연속 20만 명대 수준으로 떨어졌다. 올해 1월 33만4000명으로 상승했지만 2월과 3월 10만명 선으로 급락했다.

이에 따라 3월 실업자 수도 125만7000명으로 석 달 연속 100만명대를 기록했다. 현재 기준으로 실업자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0년 이후 3월 기준으로는 가장 많은 숫자다. 실업률은 4.5%로 지난해 동월보다 0.4%포인트나 높아졌다. 3월 기준으로는 2001년 5.1%에 이어 17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11.6%로 2016년 11.8% 이후 3월 기준으로는 2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 됐다.

빈현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최저임금 인상의 영향이 있을 수도 있지만, 관광객 감소 등 다른 영향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있어 최저임금 인상의 영향을 정확히 파악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과거에 취업자 수 증가를 견인했던 건설업 상황이 별로 좋지 않았고 인구 증가 폭 자체가 상당히 줄어들었다”며 “지난해 3월 취업자 증가 폭이 46만3000명에 달했던 만큼 기저효과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지난해 3월 취업자수 증가폭이 워낙 컸다는 점을 감안할 때 올해  3월의 취업자 증가폭은 20만명을 넘는 것으로 볼 수 있다”며 “청년고용 부진과 구조조정 위험 등에 대응해 청년 일자리 대책과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조속히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세종=박진석 기자 kaila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