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을 ‘평양’이라고 한 반기문 “北, 순수한 마음 아닐 것”

중앙일보

입력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25일 평창 겨울올림픽을 ‘평양’으로 발언하는 ‘실수’를 했다.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이 25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미클럽 초청 오찬 세미나에서 발언하고 있다. 오른쪽은 이강덕 한미클럽 회장. [연합뉴스]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이 25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미클럽 초청 오찬 세미나에서 발언하고 있다. 오른쪽은 이강덕 한미클럽 회장. [연합뉴스]

반 전 총장은 이날 한미클럽이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평창올림픽과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을 주제로 개최한 세미나 기조연설에서 “북한이 순수한 마음으로 평양에 왔을 거라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가 직후 ‘평양’을 ‘평창’으로 고쳐 말했다.

그의 ‘말실수’에 청중 사이에서 웃음이 터지자 “말이 헛나왔다. 요즘 그런 얘기가 많이 나오다 보니까…(그랬다). 언론 탓인 것 같다. (기사를) 자꾸 읽다 보니. 양해해 달라”고 했다.

반 전 총장은 “솔직히 북한이 순수한 마음으로 평창에 오는 것으로 믿고 싶은데 과거 여러 경험을 봤을 때 그렇게 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북한은 어려운 상황에 처하면 늘 평화적 제스처를 취해 왔다”고 지적했다.

그는 “평창올림픽이 끝나고 북한의 태도에 따라 국제사회의 제재 움직임, 국제사회의 대북 압력은 작년보다 훨씬 더 강해질 수 있다”며 “평창이 끝나면 당연히 (합의대로) 남북 군사 당국 간 회담이 이어져야 하고, 이런 회담은 진정한 의미의 비핵화를 위한 회담으로 실질적 협의를 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회담이) 이어지지 않을 경우 다시 여러 문제가 생기고 북한이 오판하거나 오기로 도발할 경우에 여러 국제사회 반응이 초래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반 전 총장은 평창올림픽 이후 남북관계 전망에 대해선 “평창 이후 곧바로 어떤 화해 무드나 이런 것이 그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썩 없는 것 같다”며 “과거 보면 늘 큰 행사 이후에 북한이 도발적 언사나 행동을 많이 했다”고 말했다.

또 “북한이 건군절을 2월 8일로 옮긴 것도 그렇다”며 “한국 정부가 대대적으로 (북한의 올림픽 참가를) 환대했는데 그 답이 인민군 창건 기념일에 열병식을 하겠다는 것이니 심상치 않다”고 강조했다.

추인영 기자 chu.inyou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