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원 노사분규 아직도 "불씨"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노조활동 보장하라』『부당 해고 철회하라.』 지난 2, 3일 우리나라 최고의 두뇌집단이라는 한국과학기술원 존슨강당에서는 때아닌 구호와 노래소리가 울려나왔다.
작년 12월10일 설립신고를 마친 후 1욀27일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노사분규는 파업의 위기까지 갔다가 4일 새벽 극적인 타협을 보아 일단 급한 불은 꺼졌다.
과기원노조의 조합원구성은 계약제 석사급 연구원과 기능직 사원들.
계약제연구원들은 우리도 노동자라며 노조활동에 나서 과기원측을 당혹하게 만들었다.
노조설립 취지문에서도 「우리 직원도 역시 기술 및 정신노동의 댓가로 임금을 받아 생활하는 노동자임이 분명하다」고 밝히고 있다.
이에 대해 연구소 간부들은 『원장·소장·연구실장 등이 과연 진정한 의미의 사냐』고 반문한다. 자기들은 국민의 세금인 정부의 돈을 받아다 예산 내에서 운영하는 입장에 불과하다는 것.
아뭏든 과기원의 노사문제는 원측이 노조의 사무실 제공 등의 요구를 상당부분 받아들여 수습단계에 들어섰다.
○…그러나 모든 갈등이 사라진 것은 아니다.
4일 상오 책임 연구원회의에서는 원의 규정에 따른다는 강경 방침 고수를 결의까지 했었다. 계약만료가 통고된 이인우(28·화학연구부연구원)노조위원장의 재임용은 안된다는 것. 이 결의가 번복된데 대해 각 연구실의 실장직을 맡고 있는 책임급은 협상에 임한 박원희 소장 등이 외부의 압력으로 결의를 뒤엎었다며 강한 반발을 보이고 있다.
○…한편 각 연구기관은 과기원분규의 불똥이 튈까봐 전전긍긍이다.
산업체연구소 등의 관계자들은 과기원의 노사협상 결과를 두고 강한 불만을 보이는 등 깊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연구소의 노사분규는 임금 등 생존투쟁이 아니므로 이번 사태가 연구개발 체제에 깊은 상처가 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 주변외 한결같은 의견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