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이진훈 수성구청장 "정치생명 걸고 대구공항 통합이전 저지할 것"

중앙일보

입력

이진훈 대구 수성구청장이 19일 오전 구청 회의실에서 ‘대구공항 통합이전 저지를 위한 기자회견’을 열고 ’대구공항 통합이전 저지를 위한 시민행동에 앞장서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프리랜서 공정식

이진훈 대구 수성구청장이 19일 오전 구청 회의실에서 ‘대구공항 통합이전 저지를 위한 기자회견’을 열고 ’대구공항 통합이전 저지를 위한 시민행동에 앞장서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프리랜서 공정식

이진훈 대구 수성구청장이 대구 K2군공항과 민간공항의 통합 이전에 대해 반대의 목소리를 냈다.

대구시가 지난해부터 추진 중인 K2 군공항·민간공항 통합 이전 사업 #19일 오전 10시 수성구청서 공항 통합 이전 반대하는 기자회견 열려 #이진훈 수성구청장 "정부, 대구 시민 반대하는 공항 이전 밀어붙여"

이진훈 수성구청장은 19일 오전 10시 수성구청 2층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치생명을 걸고 대구공항 통합 이전을 저지할 것"이라며 "현재 진행 중인 국방부의 대구공항 통합 이전 절차의 탈법성에 대한 감사원 감사청구는 물론 통합공항 이전지 결정에 대한 행정소송, 대구시민의 항공이용권 보장을 위한 헌법소원 등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해 전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 동구에 위치한 대구국제공항 전경. [사진 대구시]

대구 동구에 위치한 대구국제공항 전경. [사진 대구시]

이 구청장은 대구공항 통합 이전이 시민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은 중앙정부와 대구시의 합작품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대구시민의 절반 이상이 반대하는 사업을 밀어붙이는 정부가 과연 민주적인 정부냐"라며 "최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대구시민들은 군 공항만 이전하고 대구공항은 남겨둬야 한다는 데 훨씬 더 높은 지지를 보였다"고 주장했다.

군 공항을 이전하면서 민간공항의 입지를 결정하는 것은 탈법적이라고도 했다. 그는 "군공항인 K2 공항 이전의 근거가 되는 ‘군 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는 민간공항 이전에 관한 조항이 없다"라며 "그런데도 정부는 지난해 8월 부처 간 합의를 근거로 군 공항 이전지를 먼저 결정한 뒤 민간공항은 해당 지역으로 통합 이전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진훈 대구 수성구청장이 19일 오전 구청 회의실에서 ‘대구공항 통합이전 저지를 위한 기자회견’을 열고 ’대구공항 통합이전 저지를 위한 시민행동에 앞장서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프리랜서 공정식

이진훈 대구 수성구청장이 19일 오전 구청 회의실에서 ‘대구공항 통합이전 저지를 위한 기자회견’을 열고 ’대구공항 통합이전 저지를 위한 시민행동에 앞장서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프리랜서 공정식

이 구청장이 공항 통합이전에 대한 반대의 목소리를 낸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그동안 지역 토론회 등에서 군공항만 이전하고 민간공항은 지역발전을 위해 그대로 둬야 한다는 입장을 전개해왔다. 특히 지자체의 예산이 크게 들어가는 사업인데도 대구시는 아무런 여론수렴도 없이 통합 이전을 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일각에서는 그의 통합공항 이전 반대가 내년 6·13 지방선거를 염두해서라는 시각도 있다. 이 구청장은 권영진 대구시장과 함께 내년 지방선거에서 대구시장 후보군에 거론돼고 있다. 대구 통합공항 이전을 추진하는 권영진 대구시장과 대립각을 세우는 이유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 이 구청장은 "제가 정치적인 이유로 이런 발언을 한다는 시각은 대구시민의 뜻을 반영하려는 제 의견을 폄하하는 것"이라면서도 "(통합공항 이전이) 계속 추진되는 흐름이면 이를 막기 위해서라도 제가 대구 시장에 출마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대구공항 전경. 프리랜서 공정식

대구공항 전경. 프리랜서 공정식

대구 통합신공항 사업은 대구시 동구에 위치한 민간공항과 이에 인접한 K2 군공항을 함께 경북 지역으로 통합 이전하는 대구 지역 내 최대 현안사업이다. 대구시는 사업비 7조2465억을 투입해 기존 대구국제공항의 2.3배 규모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2월 예비 이전 후보지로 단독지역인 군위군 우보면과 공동지역인 군위군 소보면·의성군 비안면 2곳이 선정됐다. 대구시는 오는 10월 말까지 최종 후보지를 1곳으로 압축한 뒤, 2023년 개항할 예정이다.

대구=백경서 기자 baek.kyungse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