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린턴 "창의적 외교로 북핵 풀어야...무신경한 전쟁 위협 안돼"

중앙일보

입력

지난해 미 대선의 민주당 후보였던 힐러리 클린턴 전 미 국무장관이 18일 “북핵 문제는 창의적이고 단호한 외교로 풀어야 하며, 이는 곧 동맹과 협력해야 한다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세계지식포럼 세션에서 연사로 등장 #"북 압박해 협상장으로...김정은 비웃는 것은 도움 안돼" #"한반도서 핵대결 발생시 전세계 경제에 불안정한 결과"

추미애 대표와 힐러리 전 미국 국무장관   (서울=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와 힐러리 클린턴 전 미국 국무장관이 18일 서울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세계지식포럼에서 인사를 하고 있다. 2017.10.18 [국회사진기자단=연합뉴스]   srbae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추미애 대표와 힐러리 전 미국 국무장관 (서울=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와 힐러리 클린턴 전 미국 국무장관이 18일 서울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세계지식포럼에서 인사를 하고 있다. 2017.10.18 [국회사진기자단=연합뉴스] srbae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그는 이날 오전 서울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2017 세계지식포럼에서 “북한이 더 도발적이고 위험해지면서 한·미 동맹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며 이처럼 말했다. 클린턴 전 장관이 미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에게 패한 뒤 한국을 찾은 것은 처음이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 접근법을 직접적으로 비판했다. 클린턴 전 장관은 “미국 신행정부의 최근 조치들과 관련, 우리의 동맹들이 역내에서 미국의 신뢰성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국과 일본에 싸움을 거는 것은 김정은의 얼굴에 웃음꽃이 피게 하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클린턴 전 장관은 외교적 해법에 방점을 찍었다. 그는 “이는 결코 쉽거나 빠른 길이 아니지만, 지름길은 없다”고 설명했다. 또 이란 핵협상의 경험을 들며 “협상이 어렵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일단 시도는 해봐야 하지 않겠는가”라고 말했다.

그는 “북한에 계속 압박을 가해 협상 테이블로 돌아오게 해야 한다. 개인적으로 (김정은을)비웃는 것은 이를 불가능하게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노동당위원장을 ‘로켓맨’으로 칭한 것을 염두에 둔 발언이었다. “트위터를 통해 나온 발언들을 ‘우리가 미국 지도자로부터 이렇게 관심을 받고 있다’는 느낌이 들도록 북한 정권이 유리하게 이용했다고 생각한다. 이런 모욕적이고 충동적인 언사가 이어지지 않도록 한·미의 정부 인사들이 명확히 말을 해야 한다”고도 말했다,

이어 “한국민은 말 그대로 총구가 겨눠진 상황에서 살고 있다. 수백만의 생명이 외교적 해법에 달려 있는 가운데 전쟁을 시작하겠다는 위협을 무신경하게 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또 “이는 위험한 단견일 뿐 아니라 미국, 한국의 이익에도 정면으로 반하는 것”이라며 무력 충돌 상황 등을 경계했다. 클린턴 전 장관은 “한반도에서 핵 대결(nuclear confrontation)이 발생할 경우 전세계 경제에 불안정한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외교적 접근이 효과를 내기 위해)인내를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동시에 비례적 대응에 대해서도 믿는다”고 말했다. 클린턴 전 장관은 “북한이 미국 뿐 아니라 한국이나 일본을 위협한다면 그것이 무력 공격이 됐든 사이버 공격이 됐든 그에 비례해 대응할 수 있도록 경계 태세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의 적극적 역할을 이끌어내야 한다는 점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기조와도 일맥상통하는 시각을 보였다. “중국이 동북아 안정을 위해 보다 적극적이고 전면적인 역할을 하고, 우리와 함께 제재를 강화해 김정은이 영향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중국이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배치 문제로 한국 기업에 경제 보복을 하고 있는 데 대해서도 “중국이 북핵을 억제하는 데 있어 제대로 역할을 했다면 이런 것을 도입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어떤 국가도 북한으로부터의 위협이 있다면 이런 방어체계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를 빌미로 중국이 한국 기업에 보복하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유지혜 기자 wisepe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