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녕 친환경인증 농장 2곳 계란서 잔류농약 나와 90만개 폐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농장에서 계란을 폐기하는 모습. [중앙포토]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농장에서 계란을 폐기하는 모습. [중앙포토]

경남도가 애초 ‘적합’하다고 발표한 친환경인증 산란계 농장 2곳에서 생산된 계란에서 잔류농약 성분이 확인돼 뒤늦게 지난 24일까지 생산된 계란 90만개가 폐기된다. 두 농장은 지난 24일 이후 생산된 계란은 반출할 수 있다.
경남도는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창녕군 계성면 A농장 계란에서 클로라페나피르 0.0223㎎/㎏이, 창녕군 남지읍 동물복지농장인 B농장 계란에서 테트라콜라졸 0.0212㎎/㎏이 각각 검출됐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29일 밝혔다.이 농약 검출은 농산물품질관리원(이하 농관원)이 농산물 유해물질 320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애초 적합 판정 나왔지만 유해물질 320종 조사에서는 잔류농약 검출 #농관원, 판정내리지 않다가 ‘부적합’과 같은 조치인 계란 폐기 통보

하지만 문제의 농장 2곳에서 검출된 성분은 정부 살충제 계란 검사항목 27종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이 성분은 주로 식물에 사용하며, 계란에는 정해진 허용기준치가 없다.

경남도가 계란과 닭고기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닭을 도축하는 도계장에 대한 현장점검에 들어갔다. 29일 거창군 마리면 한 도계장의 점검 모습. [사진 경남도]

경남도가 계란과 닭고기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닭을 도축하는 도계장에 대한 현장점검에 들어갔다. 29일 거창군 마리면 한 도계장의 점검 모습. [사진 경남도]

이 때문에 농관원은 애초 이들 농장 2곳에 적합 또는 부적합 여부를 판정하지 않고 있다가 지난 24일
‘부적합’ 판정을 받은 농장과 같은 조처를 내렸다. 식약처가 검출된 두 종의 농약 성분을 친환경인증 농장에서 검출돼서는 안 되는 잔류농약으로 규정하면서 뒤늦게 농림축산식품부를 거쳐 농관원이 경남도에 폐기를 통보한 것이다.

도는 이에 따라 일단 A농장에서 생산된 계란 89만여개를 폐기할 방침이다. B농장 계란 8천700여개는 농장에서 자체 폐기했다.

도 관계자는 “2곳의 농장은 지난 18일 도내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은 창녕·합천·진주지역 농장 3곳에 포함되지 않아 적합 농장으로 분류됐다”며 “이번에 검출된 농약 성분은 정부 검사항목 이외의 성분인 데다 매우 적은 양이어서 농관원이 빨리 판단을 못 한 것 같다”고 말했다.

경남도가 계란과 닭고기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닭을 도축하는 도계장에 대한 현장점검에 들어갔다. 29일 거창군 마리면 한 도계장의 점검 모습. [사진 경남도]

경남도가 계란과 닭고기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닭을 도축하는 도계장에 대한 현장점검에 들어갔다. 29일 거창군 마리면 한 도계장의 점검 모습. [사진 경남도]

앞서 도는 지난 18일 도내 산란계 농장 144곳 중 친환경인증 73곳은 농관원이, 나머지 일반 산란계 농장 71곳은 도 축산진흥연구소가 살충제 잔류 여부를 검사한 결과 141곳의 계란은 적합하고 창녕·합천·진주지역 3곳 농장의 계란은 부적합하다고 발표한 바 있다.발표 당시 부적합 농장 계란 62만개를 포함 모두 97만여개의 계란이 폐기됐다.

창원=황선윤 기자 suyohw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