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수조사 했다더니…' 재검 결과 살충제 검출 농장 추가로 나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정부가 살충제 검사를 실시한 산란계 농장 121곳을 재검사한 결과, 2곳에서 살충제가 추가로 검출됐다. 살충제 검출 농장 명단에서 잇따라 오류가 발생한 데에 이어 검사 자체에서도 허점이 발견돼 부실 논란이 증폭될 전망이다.

시약 없어 일부 항목에 대해서만 검사 실시한 지자체도…부실 검사 논란 증폭 불가피

살충제 달걀 논란이 전국적으로 일파만파 퍼지고 있는 가운데 김영록 농림부 장관이 18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농림부 브리핑룸에서 산란계 농장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김성태 기자

살충제 달걀 논란이 전국적으로 일파만파 퍼지고 있는 가운데 김영록 농림부 장관이 18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농림부 브리핑룸에서 산란계 농장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김성태 기자

김영록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18일 "검사를 위한 시료채취 과정에서 문제가 있다는 지적에 따라 샘플 수거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 121곳에 대해 재검사를 실시해 이중 2개 농장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앞서 사흘간 농식품부는 전국 1239개 산란계 농장에 대한 전수조사에 나섰다. 하지만, 일부 농장에서 검사 사실을 사전에 알려주고 계란을 미리 준비시켜놓도록 하는 등 부실 검사가 진행됐다는 논란이 제기돼 121곳에 대한 재검에 나섰고, 재검 결과 2곳에서 살충제가 검출돼 부적합 판정을 받은 것이다.

이런 가운데, 지방자치단체별로 전수조사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일부 지자체는 27종 농약의 표준시약을 모두 갖추고 있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부실 논란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일부 지자체는 시약을 갖춘 항목에 대해서만 검사를 실시한 것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표준시약을 수입하려면 최소 2주가 걸리는 등 시간이 다소 걸리는데, 전수조사가 긴급하게 결정되면서 일부 항목 검사를 하지 못한 지자체도 있다"며 "다행히 가장 문제가 되는 피프로닐과 비펜트린 시약을 전국 모든 지자체가 갖고 있어 검사를 했으며, 시약 부족으로 일부 농약에 대한 검사가 이뤄지지 못한 농장을 대상으로 파악 후 필요하면 보완검사를 하겠다"고 해명했다.

한편, 이날 추가로 부적합 판정을 받은 농장 2곳의 계란은 전량 수거돼 폐기처분됐다.

박상욱 기자 park.lepremie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