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선거 후 상황에 관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미국정부는 앞으로 1주일 남은 한국대통령선거와 관련, 선거과정에 못지 않게 그 후의 상황에 보다 날카로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정후보의 당락여부보다 누가 당선될때 혼란이 극소화될 것이냐는데 대한 관심이다.
미정부는 지난 6월 진통때와 달리 선거과정에서는 눈에 띌정도로 대한 발언을 자제해왔다. 선거에 미칠 영향뿐 아니라 선거 후 혼란의 불씨가 될 소지를 우려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선거가 임박해지면서 미정부는 두가지 점에 관한 관심을 명백히 하겠다는 입장이다.
첫째 유권자가 자유 분위기속에서 결정을 내릴 수 있어야하고, 둘째 국민결정이 수용돼야한다는 점이다.
이에 관해서는 「개스턴·시거」 국무성차관보가 9일 연설로 더욱 명백한 입장을 밝힐 것으로 보인다.
워싱턴 외교소식통에 따르면 이제까지 미국정부는 한국의 여권이건, 야당이건 어느쪽의 선거운동 활동이나 진행사항에 관해 부정적인 견해를 표명한 일은 없다고 전했다. 공명선거실시에 관련된 직접적인 의사표명도 거의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어느때 보다 반미감정이 높아져있는 점을 감안, 내정간섭의 인상을 주는 행동을 최대한 억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번 필리핀 대통령선거때 선거 참관인단을 보냈던 것과 달리 한국선거에는 참관인단을 보내지 않기로 했다.
미국무성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의회까지야 어떻게 할 수 없지만 행정부만이라도 선거 기간중 가급적 고위공무원의 한국방문이나 대한발언을 삼가토록 지침을 만들어 돌린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정치에 대한 군의 개입 또는 군사쿠데타 가능성에 대해서는 단호한 반대입장을 명백히 표명해왔다. 최근 「시거」차관보는 서울을 방문, 민주화과정의 순조로운 진행을 강조하고 군 개입에 대한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