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CEO "하이퍼루프 구두 승인…워싱턴부터 뉴욕까지 29분"

중앙일보

입력

전기차 업체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CEO는 지난 20일(현지시간) 워싱턴 DC와 뉴욕을 29분 만에 주파하는 하이퍼루프에 대해 (정부의) 첫 구두 승인을 받았다고 전했다. 사진은 하이퍼루프 여객운송 캡슐 개념 디자인. [테슬라 제공]

전기차 업체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CEO는 지난 20일(현지시간) 워싱턴 DC와 뉴욕을 29분 만에 주파하는 하이퍼루프에 대해 (정부의) 첫 구두 승인을 받았다고 전했다. 사진은 하이퍼루프 여객운송 캡슐 개념 디자인. [테슬라 제공]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CEO가 20일(현지시각) "워싱턴DC와 뉴욕을 29분 만에 주파하는 하이퍼루프의 (정부) 첫 구두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머스크는 이날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워싱턴과 뉴욕을 잇는 새로운 초고속 운용 네트워크는 필라델피아와 볼티모어에서도 정차할 것"이라며 "각 도시에는 최대 12개의 엘리베이터 출입구가 설치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같은 일이 빨리 일어나기를 원한다면 당신 지역의 선출직 인사들에게 이 소식을 알려줘라. 이것이 큰 차이를 만들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하이퍼루프는 열차처럼 생겼지만, 실제 작동방식은 진공 튜브 속의 자기장으로 추진력을 얻는 신개념 이동수단이다. 2013년 머스크가 처음으로 공개한 뒤 지난해 네바다 주에서 첫 시험주행에 성공한 바 있다.

전기차 업체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CEO는 지난 20일(현지시간) 워싱턴 DC와 뉴욕을 29분 만에 주파하는 하이퍼루프에 대해 (정부의) 첫 구두 승인을 받았다고 전했다. 사진은 하이퍼루프 여객운송 캡슐 개념 디자인. [테슬라 제공]

전기차 업체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CEO는 지난 20일(현지시간) 워싱턴 DC와 뉴욕을 29분 만에 주파하는 하이퍼루프에 대해 (정부의) 첫 구두 승인을 받았다고 전했다. 사진은 하이퍼루프 여객운송 캡슐 개념 디자인. [테슬라 제공]

하이퍼루프 사업을 추진해온 업체 관계자들은 "하이퍼루프는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규제의 문제"라며 정부 승인이 최대 관건임을 강조해왔다.

백악관은 머스크의 주장에 대해 "정부는 머스크 및 보어링컴퍼니 임원진과 대화 일정을 잡은 바 있다"고 인정했다. 이어 "정부는 새로운 인프라 구축을 추진하고 있고 최고의 해결책은 대부분 완전히 새로운 것에서 출발하며 민간 부분에서 나온다는 것을 믿고 있다"고 에둘러 인정했다.

하지만 하이퍼루프 건설이 실제 이루어질지는 아직 불투명하다. 수십억 달러의 자금이 필요한 데다 연방 및 주 정부, 지역 기관들로부터 승인을 받는 절차가 아직 남아있기 때문이다.

머스크는 지난해 네바다주에서 첫 하이퍼루프 시험 주행에 성공했으나 아직 실제 인간을 태운 바는 없다.

비행기보다 빠른 시속 1200km가 넘는 속도로 서울과 부산 사이를 15분 이내에 주파할 수 있는 새로운 이동수단이 첫발을 내딛을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인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