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고개숙인 경찰청장 "백남기 농민과 유족께 진심으로 사과"

중앙일보

입력

이철성 경찰청장 [ytn 캡처]

이철성 경찰청장 [ytn 캡처]

이철성 "앞으로 일반 집회 시위 현장에 살수차 배치 않겠다"

 이철성 경찰청장이 16일 고(故) 백남기 농민의 사인이 '외인사'로 변경된 것과 관련해 "백남기 농민과 유족에게 깊은 애도와 함께 진심어린 사과를 드린다"고 밝혔다. 경찰이 백씨의 사망에 대해 공식 입장 발표를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청장은 이날 오후 서울 서소문 경찰청에서 열린 '경찰개혁위원회' 발족식에서 "경찰 공권력은 어떠한 상황 가운데도 국민 안전과 절제 속에서 사용돼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앞으로 일반 집회 시위 현장에 살수차를 배치하지 않겠다. 사용요건 또한 최대한 제한하겠다"며 "이러한 내용을 '사용 규정'으로 법제화해 철저히 지켜나가겠다"고 발표했다.

 이 청장은 "오늘 경찰개혁위원회 발족을 계기로 과거 아픔이 재발되지 않고록 인권 경찰이 되는 데 혼신의 힘을 다하겠다"며 "경찰의 역할이 무엇인지 진정 국민이 원하는 경찰이 무엇인지 항상 고민하고 국민이 공감하는 경찰 활동을 펼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이 청장은 이날 백씨 사망과 관련한 경찰 내 진상조사와 책임소재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이날 기자회견은 서울대병원이 지난 15일 공식 기자회견을 통해 백씨의 사망원인을 '병사'에서 '외인사'로 변경한 데 따른 것이다. 서울대병원은 사망원인 변경에 따라 백씨의 직접적 사인을 급성신부전과 패혈증, 외상성 경막하출혈 등으로 수정하고 그 원인을 '물대포'라고 봤다.

앞서 백씨는 지난 2015년 11월14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일대에서 열린 민중총궐기 집회에서 경찰의 물대포에 맞아 쓰러져 서울대병원에 후송됐지만 의식불명 상태에 빠져 지난해 9월25일 사망했다. 당시 주치의는 백씨의 사망진단서에 '외인사'가 아닌 '병사'라고 표기했고 이를 두고 정치·사회적 논란이 일었다.

이지상 기자 ground@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