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테흐스 유엔 총장 ‘위안부 합의 지지’ 발언은 “원론적 언급일 뿐” 해명

중앙일보

입력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의 ‘한·일 위안부 합의 지지’ 발언 논란에 대해 유엔이 28일(현지시간) 원론적 언급일 뿐이라고 해명했다.

두자릭 유엔 대변인, 논평 통해 즉각 해명에 나서 #"한·일 간 합의에 따라 해결할 사안이라는데 동의" #논란이 확대될 조짐을 보이자 서둘러 진화작업

스테판 두자릭 유엔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만난 자리에서 위안부 문제는 한·일 간 합의에 따라 해결할 사안이라는 데 동의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는 구체적인 합의 내용에 동의했다는 것이 아니라, 위안부 해법의 본질(nature)과 내용을 규정하는 것은 양국에 달렸다는 원칙에 동의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이 서둘러 진화에 나선 것은 유엔의 수장이 일본 측 입장에 손을 들어줬다는 일본 언론의 보도가 논란으로 확대될 조짐을 보였기 때문이다.

일본 교도통신을 비롯한 다수의 현지 매체들은 일본 외무성 발표를 인용해, 구테흐스 총장이 지난 27일 이탈리아 타오르미나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아베 총리를 따로 만나 위안부 합의를 지지하고 환영한다(support and welcome)는 입장을 밝혔다고 보도했었다.

구테흐스 총장의 이날 발언은 한국에서 문재인 대통령 취임 이후 위안부 관련 재합의 움직임이 일고 있는 상황에 나온 것이어서 논란을 증폭시켰다. 게다가 유엔 고문방지위원회는 지난 12일 보고서에서 “한ㆍ일 합의는 피해자에 대한 명예회복, 배상, 재발 방지 측면에서 불충분하다”며 위안부 관련 한ㆍ일 합의 내용의 개정을 권고한 터였다.

일본 정부는 2015년 12월 한일 정부 간 타결된 위안부 합의가 ‘최종적이고 불가역’이라는 입장이지만, 문 대통령은 지난 11일 아베 총리와 취임후 첫 전화통화에서 “우리 국민 대다수가 정서적으로 위안부 합의를 수용하지 못하는 게 현실”이라고 말한 바 있다.

뉴욕=심재우 특파원 jwsh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