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전 대통령 직무 정지 상태에도 하루 5000만원 꼴로 특수활동비 쓰였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박근혜 전 대통령이 25일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2차 공판을 마치고 호송차로 이동하고 있다. [중앙포토]

박근혜 전 대통령이 25일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2차 공판을 마치고 호송차로 이동하고 있다. [중앙포토]

김홍국 경기대 겸임교수가 박근혜 전 대통령이 청와대를 떠나기 전까지 70일 동안 청와대에서 35억원의 특수활동비가 쓰였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26일 YTN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아침'에 출연해 대통령 비서실의 특수활동비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며 이같이 밝혔다.

김 교수는 "그동안 숨어서 부정하게 사용됐던 특수활동비가 정말 많았다"며 "개인의 사적 생활비라든가 해외에서 가족들 비용, 유흥비 이런 부분까지 영수증을 첨부할 필요가 없는 특수활동비로 부정하게 사용됐다"고 말했다.

그는 "물론 꼭 필요한 수사, 감사, 예산, 조사 부분에 사용되는 비용은 필요하다"며 "과거 대통령 시절 특수활동비가 계속 늘어오는 추세였다"고 전했다.

이어 "특히 박 전 대통령은 탄핵이 돼 마지막 나가는 날까지 70일 동안 35억원의 특수 활동비가 쓰였다고 한다"며 "하루에 5000만원씩 국민 세금이 사용된 것이다. 꼭 써야 할 비용은 당연히 써야겠지만 이런 식의 잘못된 관행들은 줄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청와대에 따르면 올해 비서실 특수활동비와 특정업무경비 예산으로 총 161억여원이 편성됐으며 현재 35억원이 집행됐다고 밝혔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파면돼 지난 3월 12일 청와대를 떠날 때까지 약 70일 동안 청와대가 35억원을 사용한 셈이라는 것이 김 교수의 주장이다.

이와 관련해 이용호 국민의당 정책위의장은 26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박 전 대통령이 탄핵을 당한 상태에서도 청와대 특수활동비 30여억원이 집행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국민은 대통령 없는 청와대가 특수활동비를 어디에 썼는지 알 권리가 있다"고 말했다.

이가영 기자 lee.gayoung1@joogn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