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한국 새 대통령과 안보 면에서 협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9일 북핵 대응 등 안보 면에서 한국의 새 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아베 총리는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에 따른 정보 공유를 포함해 안전보장 면에서 한일, 한ㆍ미ㆍ일 간 협력을 추진하겠다. 새 대통령과 이런 방침에서 의견을 같이하고 싶다" 고 말했다. 이어 "가능한 한 이른 단계에서 새 대통령과 통화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국회에서 “가능한 한 빨리 새 대통령과 통화" 뜻도 밝혀 #스가 관방장관은 "새 정부와도 위안부 합의 이행할 것" #해 넘긴 한ㆍ중ㆍ일 3국 정상회의 개최도 서두를 듯 #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도 이날 한국 대통령 선거와 관련해 “새 정권과도 한일 (위안부) 합의를 착실히 이행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한일 협력을 진전시켜 갈 것”이라고 말했다.

스가 장관은 정례 브리핑에서 “한국은 우리나라와 전략적 이익을 공유하는 가장 중요한 이웃 국가로, 한국 대통령 선거의 향방에 특별한 관심을 갖고 주시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2015년 12월 한일 간 위안부 합의에 대해 “한일 간 약속일 뿐 아니라 국제사회에서도 높이 평가되는 합의”라며 “일본 정부는 한국 측에 끈질기게 합의를 착실히 이행할 것을 요구해 나갈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의 유력 후보가 위안부 합의 재협상 방침을 밝혀온 온데 대해선 “합의는 한일 양국의 약속으로 국제사회에서도 높이 평가받는 것이 사실”이라며 “양국이 이를 착실히 이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거듭 밝혔다. 일본 정부는 한국의 새 정부에 부산 일본총영사관 앞에 설치된 소녀상 철거도 계속해서 요청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 정부는 과거사 문제와 안보 문제를 분리하겠다는 입장이다. 하기우다 고이치(萩生田光一) 관방부장관은 7일 TV에 나와 “누가 대통령이 돼도 한국은 일본에 매우 중요한 이웃이자 파트너”라며 “안보 측면에서는 지금까지의 협력을 더 심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일본 정부는 한국의 새 정부 출범을 계기로 그동안 연기돼 왔던 한·중·일 3국 정상회의의 개최도 서둘러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3국 정상회의는 지난해 일본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중국이 한국의 탄핵 정국 등을 이유로 난색을 표시해 아직 일정을 잡지 못하고 있다. 한일 정상은 오는 7월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함께 참석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이를 계기로 별도의 정상회담이 열릴지도 주목된다.
도쿄=오영환 특파원 hwas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