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끄러운 밤 소음, 남성 불임 가능성 높인다"

중앙일보

입력

밤에 소음이 심한 곳에 사는 남성일수록 불임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 의대 예방의학교실의 민경복 교수와 서울대 보건환경연구소 공동연구팀은 소음과 남성 불임의 상관관계가 야간에 그 유의성을 보였다고 25일 밝혔다. 2002~2005년 당시 건강했던 20~60세 남성 20만명을 대상으로 8년 동안 추적 조사한 결과다.

위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중앙포토]

위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중앙포토]

야간 소음에 가장 많이 노출된 그룹은 가장 낮게 노출된 그룹보다 불임 진단을 1.5배 더 많이 받았다. 연령·소득·흡연·음주·비만도 등 남성 불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수를 고려해도 소음에 따른 불임 위험도는 최고 1.26배까지 높았다.

연구팀은 야간 소음이 세계보건기구(WHO) 기준인 55데시벨(㏈)을 넘으면 남성 불임 위험은 1.14배 증가한다고 분석했다. 55㏈은 ‘옆에서 누군가 보통의 목소리로 계속해서 얘기하고 있을 때’와 비슷한 수준이다.

야간과 달리 주간에는 소음의 영향이 크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에 따르면 낮에는 대부분의 조사 대상자가 직장에 있어 거주지 주변 환경소음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으로 보인다.

민 교수는 “소음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인체에 스트레스 반응이 유발되고, 이로 인해 내분비 시스템에 영향을 미쳐 남성 호르몬과 정자 생성이 줄어드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며 “소음도 대기오염 못지않게 모든 연령과 지역에서 폭넓게 노출되고 있는 만큼 환경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온라인 중앙일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