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배우는 제2 아동기 즐겨라

중앙선데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525호 31면

외국인의 눈

언어는 무궁무진한 세계다. 어학이라는 것은 그 세계로 통하는 문을 열어주는 열쇠라서 거의 마술에 맞먹는 특별한 매력이 있다.

나에게는 어렸을 때부터 모국어인 영어를 정복하고 프랭클린 D 루스벨트, 존  F 케네디나 키케로와 같은 역대급 웅변가처럼 말을 잘하고 싶은 소원이 있었다. 독특한 숙어·속담·명언을 자유자재로 구사하고 즉석에서 상황에 딱 들어맞는 말을 구사하는 사람들을 영웅처럼 떠받들었다.

어린 시절 미국 작가 잭 런던이 매일 새로운 단어 스무 개를 외우고 웅변술을 기르려고 도시의 붐비는 공원에 가서 즉석연설을 하면서 어휘력을 연마했다는 일화를 듣고 깊은 영감도 얻었다. 시사 잡지 타임이나 뉴요커를 읽다가 하나의 작품 같은, 정교하게 짜인 문장을 접할 때마다 감동하고 공책에다 따라 쓰고 ‘조만간 나도 이런 문장을 쓰겠다’는 야심을 품기도 했다.

이런 내가 한국어를 배우기 시작하면서 다시 걸음마 단계로 되돌아 가야 했을 때는 적잖이 괴로웠다. 바로 전날 철학과 예술 이론에 대해 즉석에서 토론하다가 그다음 날에는 기초 중의 기초인 ‘무…슨…음식…을 가……장 좋아…해요’와 같은 문장을 온 힘을 짜내 말하면서 하루를 보내야 했다.

새 언어를 배우는 것은 어마어마한 노력은 물론이고 돈도 들고 평생이 걸리는 작업이라 꼭 필요하지 않다면 굳이 시작할 이유는 없다. 그래서 모국어가 영어인 미국인 대부분이 이러한 언어를 배우는 과정의 제2의 아동기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 하지만 한국인 중에는 다시 언어 바보가 되는 이 고통스러운 과정을 모르는 사람이 별로 없을 것이다.

그러나 표현을 제대로 못해서 느껴지는 답답함과 비교적 늦은 나이에 다시 아이가 되는 느낌으로 인하여 생기는 좌절감은 잘 활용하기만 하면 대단한 원동력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나오는 말은 대부분 틀리거나 우스운 소리가 되고 어휘력은 다시 유치원생 수준으로 돌아간 것에 대해서 나만큼 답답하게 느낀 사람도 드물 것이다. 그러나 틀리지 않으려고 문법과 맞춤법, 띄어쓰기를 수십 번 확인하고 나서 말하는 습관이 한국어를 빠른 시간 안에 배우는 데 큰 도움이 됐다.

지금 새로 외국어를 배우고자 한다면 평생 두 번째로 아이가 되는 것을 창피한 일로 생각하지 말아야 한다. 스스로 시간의 바늘을 되돌렸다고 생각하고 즐겨야 한다. 두 번째 아동기는 일시적일 뿐 조만간 다시 말 잘하는 성인으로 거듭날 수 있을 테니까 말이다.

마이클 엘리엇
무료 유튜브 영어학습 채널·팟캐스트'English in Korean'운영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