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부품 교환구매 종업원 지주제를 확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정부는 노사분규에 따른 임금인상으로 가격경쟁력이 상대적으로 약화된 자동차및 부품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노사분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종업원지주제의 확대, 노동생산성에 부합되는 임금산정기준의 정립, 부품계열업체의 복수다원화및 대형화를 통한 경쟁체제의 도입, 부품의 교환구매제 확대등 종합육성방안을 마련키로했다.
10일 상공부에 따르면 이같은 종합대책이 효과적으로 실시되어 뿌리를 내리는 경우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은 지난해의 59만4천대생산에서 오는 90년에는 1백85만대, 2000년에는 4백만대 생산으로 그 규모가 비약적으로 신장, 국내제조업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86년의 5.1%에서 90년에는 8%, 2000년에는 11%로 일본과 비슷한 수준에 이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상공부는 앞으로 자동차산업 발전에는 노사관계의 안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보고「근로자도 주인」이라는 공동체의식을 심어주기 위해 전종업원이 최소한 10주이상을 보유하도록 종업원지주제 확대를 유도하고 기업내용의 공개및 장기비전제시를 통해 근로자의 기업경영 참여를 인정토록 할 방침이다.
또 이제까지는 모기업이 1개부품업체에만 의존하는 비율이 30%에 달해 1개부품의 공급중단으로 모기업및 다른부품업체까지 피해를 보는 사태를 빚었으나 앞으로는 계열부품업체를 복수화·다원화하여 교환구매가 가능토록하고 부품업체를 대형화하여 모기업 납품에만 의존하지 않고 수출등으로 규모의 경제를 이룩하도록 유도키로 했다.
이와함께 수출승용차의 국산화 비율을 현재의 50∼70% 수준에서 대폭 끌어올리고 독자설계및 디자인 능력등을 조기확보토록 하며 이를위해 선진국 기술의 과감한 도입을 추진키로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