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밖으로 나가도 되나요?"

미주중앙

입력

시민권자가 아닌 한인 상당수가 '도널드 트럼프 노이로제'에 걸렸다. 트럼프 대통령의 반이민 행정명령, 취업비자 심사강화 조치 등으로 위축된 모습이다.

'트럼프 반이민' 불똥 튈까 전전긍긍
영주권자들, 시민권 취득 관심 커저

트럼프 대통령이 반이민 행정명령 이후 '취업비자' 등 비이민비자 심사까지 강화한다는 소식본지 2월1일자 A-1면>을 접한 한인들은 불똥이 어디까지 튈지 현 상황을 우려했다.

지난해 12월1일 영주권 최종승인을 앞두고 지문을 찍은 이모(40대)씨는 트럼프 대통령을 향해 "세계를 상대로 전쟁을 선포한 것 같은 모습"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솔직히 미국이 힘을 자랑하는 나라라는 생각은 했지만 (반이민 행정명령 등) 이 정도일 줄은 몰랐다"면서 "영주권이 곧 승인될 것으로 믿지만 불안한 마음은 어쩔 수 없다. 영주권을 손에 쥘 때까지 한국은 안 갈 생각"이라고 말했다.

한인 이민수속 정보 웹사이트인 워킹US에 자신을 영주권자라고 소개한 ID 트**는 "오늘 회사 동료가 내게 오더니 당분간 미국 밖으로 나가지 말라고 했다. 한국은 입국 금지 7개국에 포함 안 됐다고 답했지만 동료는 (재입국 시)이민국이 마음에 안 들면 딴죽을 걸 수 있다고 경고했다"라며 불쾌한 경험담을 올렸다.

인턴비자(J), 졸업후현장실습(OPT), 취업비자(H-1B), 주재원비자(L1) 등을 소지한 이들은 당분간 한국 방문은 아예 자제하자는 모습을 보였다.

워싱턴DC에서 파견된 김모(50)씨는 지난달 30일 업무 차 한국으로 귀국했다가 가족의 걱정에 시달렸다.

김씨는 "딸은 내가 미국으로 다시 돌아올 수 있냐고 묻는다. 그런 일은 없겠지만 미국 정부가 한국인 입국을 통제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전했다.

두 번째 취업비자 추첨까지 떨어진 김모(30.여)씨는 "한국으로 돌아가 세 번째 취업비자 신청을 준비하려 했다. 취업비자 자격을 높이고 심사를 강화한다니 해결책이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LA 한 한인업체에서 일하는 최모(20대.여)씨는 "트럼프 대통령 당선 때부터 걱정이 많았다. 다행히 회사 측에서 취업비자 대신 영주권을 바로 신청하라고 했다"며 안도했다.

한인 영주권자의 시민권 취득 관심도 급증했다. 특히 미국에 살면서 경범죄나 음주운전(DUI) 기록을 남긴 이들은 해외를 오가는 일을 포기하는 모습이다.

이민법 전문 조나단 박 변호사는 "경범죄 기록이 있거나 음주운전으로 체포됐던 영주권자의 시민권 취득 문의가 많다"면서 "다들 외국에 나갔다 와도 되는지 궁금해 한다. 합법비자 소지자, 영주권을 이미 신청한 사람, 범죄 전력이 없는 영주권자는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다만 박 변호사는 향후 100일 동안 트럼프 행정부의 반이민정책과 각종 비자심사 강화정책 세부규정(policy memorandum)을 지켜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국토안보부와 이민서비스국은 행정부의 정책노선을 반영할 수밖에 없다. 이민 심사관의 재량권이 강한 만큼 뜬소문은 조심하고 각종 서류는 철저하게 준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형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