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중국·일본·대만 환율조작 여부 조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5면

[워싱턴.베이징 블룸버그.AFP=연합]미 회계감사원(GAO)은 한국.중국.일본.대만이 자국 수출을 늘리기 위해 환율을 조작하고 있는지 조사에 착수할 것이라고 GAO 관계자가 5일(현지시간) 밝혔다.

미 의회 조사기관인 GAO의 이런 움직임은 동아시아 국가의 환율정책이 미국 제조업체의 수익과 고용을 해치고 있다는 주장이 의회 일각에서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공화.민주 양당 일부 의원들은 앞서 지난 달 31일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에게 중국이 변동환율제를 채택하도록 압력을 가하라고 촉구했다.

GAO 분석담당자인 다이언 글로드는 이와 관련, "의회로부터 조사 요청을 접수했으며 연구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으나 자세한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도널드 맨줄로 하원 중소기업위원장은 동아시아 4개국이 미국 제조업 무역적자의 75%를 차지하고 있다며, GAO가 90일 이내에 조사를 완료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중국 당국은 이날 국내외의 압력에도 불구, 위안화 평가절상을 단행하지 않을 방침임을 강력히 시사했다. 원자바오(溫家寶) 국무원 총리는 로버트 루빈 전 미국 재무장관을 비롯, 미국측 인사를 접견한 자리에서 위안화 안정은 중국뿐 아니라 다른 국가를 위해서도 좋은 것이라고 밝혔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전했다.

원 총리는 "위안화의 기본적 안정성은 중국의 지속적 경제 안정과 금융산업 발전에 혜택이 될뿐 아니라 인근국가와 지역, 나아가 국제경제 및 금융산업 발전에도 득이 된다"고 말했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도 이날 분기별 통화 보고서를 통해 올 하반기 위안화 환율의 대대적 변동 및 대폭적 절상 가능성을 배제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