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 돈사정 빠듯해진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오는 연말까지는 돈줄이 수출기업·농어촌·중소기업 등에만 돌려지고 나머지 일반인이나 내수기업등은 은행돈 쓰기가 매우 어렵게된다.
재무부는 연말까지 5개월동안 줄잡아 4조2천억원규모의 시중 자금을 거두어 들여야만 총통화증가억제목표 18%를 지켜 경제의 안정을 유지할수 있다고 판단, 강력한 통화관리대책을 퍼나가기로 했다.
시중에 돈이 많이 풀려 인플레걱정이 고개를 드는 가운데 재무부는 시중돈을 최대한 빨아들이는데다 역점을 둔 하반기통화관리대책을 마련했다. 재무부는 이만한 돈을 거두어들이기 위해 ▲앞으로 매달 평균 5천억원씩의 채권을 각 금융기관에 팔아 2조4천억원을 거두고 ▲수출로 돈을 버는 대기업들에게는 주식이나 회사채를 팔아 은행빚과 외채를 갚도록해 약1조8천억원을 거두어 들일방침이다.
이 경우 8∼12월간 기업·가정등에 풀려나갈수 있는 이른바 민간신용은 2조5천억원 정도가 될 것으로 재무부는 보고있는데 이중에는 1조2천억원규모의 외화대출 (흑자관리대책으로 집행되고 있는 외국산시설재도입자금) 이 포함돼 있으므로 실제 일반대출은 하반기중의 농사자금회수를 감안하더라도 1조7천억원정도에 불과해 수출금융을 타쓰는 기업을 뺀 나머지 기업과 일반가정에 돌아갈 몫은 거의 한푼도 여유가 없는 형편이다.
수출과 농어촌등에서 터져나오는 돈의 홍수를 막기위해 나머지 곳곳의 댐수문을 걸어잠그는 식인데 이처럼. 돈의 공급경로가 크게 바뀜에 따라 시중 실세금리가 뛰고 (현재 정부채권의 수익률은 년 12·3%수준) 일반대출이 중단되는 부작용은 피할수 없게 됐다.
재무부는 최근 연말총통화증가율 18%의 통화관리목표고수 방침을 다시 강조하고 앞으로 연내 ▲해외부문에서 2조8억원 ▲추경및 재해복구로 1조원 ▲민간신용에서 2조5천억원 ▲정부신용에서 1조7천억등 모두 8조원의 돈이 풀릴 전망이므로 4조2천억원의 환수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