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이있는책읽기] 선물 얘기 하나라도 평범한 결론은 NO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5면

설날을 앞두고 눈이 휘둥그럴 만큼 비싼 선물세트가 팔린다지만 그것은 뇌물 세트라고 부르는 것이 정확할 것이다. 어린이도 예외가 아니다. 받는 기쁨을 알아버린 아이들은 툭하면 선물을 요구한다. 시험을 잘 보았으니, 설날이니 선물을 달라고 조른다. 친구의 마음을 선물의 크기로 짐작하기도 한다. 좋은 선물은 어떤 선물일까? 마음의 선물은 선물일까, 아닐까? 받는 기쁨과 주는 기쁨 가운데 어떤 것이 더 클까?

'벤자민의 생일은 365일'(쥬디 바레트 글, 론 바레트 그림, 미래M&B)은 선물의 의미를 되짚어볼 수 있는 해맑은 이야기다.

벤자민은 친구들과 조촐한 생일잔치를 연다. 선물을 풀어볼 때는 눈물나게 행복했지만 잔치는 금방 끝나고 다시 생일이 오려면 365일이나 기다려야 한다. 아쉬운 벤자민은 받은 선물을 그대로 포장해서 머리맡에 두고 잔 뒤 이튿날 자기 스스로에게 선물한다. 1인 2역의 선물 놀이를 시작한 것이다. 주는 기쁨이 받는 기쁨 못지않다는 걸 알게 된 벤자민은 아끼는 멜빵, 할아버지 사진 같은 오래된 물건을 낡은 포장지로 싼 뒤 하나씩 풀어보는 재미로 일 년을 보낸다. 벤자민의 선물놀이는 일 년 뒤 집 전체를 리본으로 포장한 벤자민이 친구들과 함께 지붕 위에서 생일잔치를 하면서 끝난다. 벤자민은 그제야 비로소 자기 곁에 있는 모든 것이 다 귀한 선물이라는 사실을 깨닫는다.

'선물'에 대해 토론하거나 논술문을 쓸 때 '역시 마음의 선물이 최고'라거나 '주는 것이 받는 것보다 좋다'는 평범한 결론을 경계해야 한다. '좋은 선물의 조건'에 대해 실용적으로 분석하거나 '선물의 부정적 기능'도 한 번 검토해보는 것은 어떨까.

김지은(동화작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