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최순실 "박 대통령, 나를 '최원장'이라 불러…미르재단 내 아이디어 아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비선실세 최순실 국정농단 국조특위 청문회 위원들이 26일 서울구치소에서 최순실을 비공개 접견했다.

특위 위원장인 새누리당 김성태 의원은 이날 비공개 접견후 기자들을 만나 “3시가 조금 넘어서부터 5시 30분까지 서울구치소 수감동에서 수감번호 628번 최순실 증인과 함께 약 두시간 반 동안 현장 신문 질의답변이 있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의원은 “최씨가 우울증과 심장 등 몸이 많이 아프다는 건강상태를 얘기하며 사실상 제대로된 답변이 별로 없을 정도여서 (신문 진행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다”며 “신문을 마치면서 ‘박근혜 대통령을 위해 본인이 죽어서라도 대통령 탄핵이 기각됐으면하는 바람이 있느냐’고 묻자 제대로된 답변을 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날 신문은 구치소측과 법무부의 요청으로 일체의 사진 촬영이나 녹음 등이 허용되지 않았다.

관련 기사

현장 신문에 동행한 새누리당 황영철 의원은 “첫번째 질문자로 편안하게 ‘본적은 정선이던데 고향이 어디냐’고 묻자 서울이라고 답변했다”며 “건강상태를 물으니 ‘심신이 너무 어지럽고 심경이 복잡한 상태’라고 답변했다”고 말했다. 이어 최씨에게 국민들에게 한마디 해달라고 요청하자 “국민들께 여러가지 혼란스럽게 해서 죄송합니다”라고 얘기했다고 황 의원이 전했다. 최씨는 특조위원들이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과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을 모르냐'고 묻자 "모른다고 대답했다. 더불어민주당 손혜원 의원은 "(우병우 전 수석 장모인) 김장자씨도 전혀 모른다고 했고, 심지어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수석)도 모른다고 하더라"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김한정 의원은 “(최씨가) 노란 명찰이 달린 연한 녹색 수의를 입고 나타났다. 얼굴은 초췌해 보였지만, 건강에 큰 무리는 있어보이지 않았다”며 “두시간여 동안 간간히 물도 마시고 답변을 또렷이 앉아서 했는데, 곤란한 질문이 나올 때면 ‘특검에 가서 얘기하겠다’·‘재판 중이라 얘기할 수 없다’는 식으로 회피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최씨가 기본적인 심경으로 ‘나라에 혼란을 끼쳐 죄송하다. 나라가 바로 섰으면 좋겠다’고 피력했지만, 자신이 어떤 잘못을 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지 않았다”며 “미르·K스포츠재단 관련 아이디어는 누가 냈느냐고 물으니 ‘나는 그런 아이디어를 내지 않았다고 답변했다”고 전했다. 최씨는 김 의원에게 “청문회는 검찰에 불려다니느라 못보고 저녁 7시 뉴스를 보고 있다”고 했다고 한다. 그 밖에 김 의원이 질문한 ‘억울한 점 없느냐’·‘대통령과 수십년 된 오랜 인연이고 당선에 기여했다는데, 국정에는 1%도 기여안하고 시녀같은 사람이라는 얘기 나오는 것 알고 있느냐’는 등의 질문에는 대답하지 않았다.

새누리당 장제원 의원은 “최씨가 딸(정유라) 문제가 나올 때는 울음을 터뜨렸다”고 말했다. 장 의원은 “(최씨가) 내가 왜 이렇게 구속되어야 하느냐는 자조섞인 한탄(으로 울었다)”며 “대통령은 최순실을 ‘최원장’이라고 부른다”고 말했다. 하태경 의원은 “마지막에 나갈 때 (최순실과) 제가 악수를 했는데 손이 따뜻했다. 혈액순환이 잘 되는 것 같다”며 “오히려 좀 살이 빠져서 좀 더 건강해진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라고 말했다.

이지상·채윤경 기자 ground@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