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정관심과 장관경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이번「5·18」개각으로 바뀐 농림수산부장관의 이·취임식이 19일 상오 열렸다.
떠나는 황인성전장관은 그동안 정력적으로 해낸 일을 회고하고 스스로 끝마무리짓지 못하고 가는 아쉬움을 나타냈고, 새로온 김주호장관은 야심찬 새 비전의 제시보다 현재 추진중인 일을 일관성 있게 마무리 지을 것을 다짐했다.
정책의 일관성 부재를 누차 경험해온 터라 참신함이 덜하긴 해도 우선 마음은 놓이는 대목이다.
사실 최근 1년여동안 농림수산부는 농정사에 한 획을 그을만한 일들을 여러 개 벌여 놓았다.
농어촌총합대책이며 농지제도개선, 최근의 농어가부채 경감대책에 이르기까지 농어촌이 안고 있는 구조적 문제에 대한 다각적인 메스가 가해지고 있던 참이었다.
그런 점에서 장관의 갑작스런 경질에 농림수산부 관리들이 당황해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리라.
인사란 물론 예고될 성질의 것이 아니고, 또 최근 개각설이 돌 때마다 「장수」라는 이유로 경질의 가능성은 항상 따라 다녔다. 그래서 전혀 가늠하지 못한 바는 아니었겠지만 보는 이에 따라선, 특히 농림수산부의 입장으로선 어리둥절하게끔 됐다.
개각설의 진원이 됐던 범양사건과는 애당초 관련이 없는 곳이고, 또 그동안 연속 풍년과 고집스럽게 밀어붙여 얻어낸 큼지막한 대농어민시책들을 감안하면 농림수산부의 그런 분위기는 일응 수긍이 간다.
그러나 이번 인사는 세심한 관리가 필요한 일들을 마무리 짓기 위해 적재적소라는 인사의 대원칙에 맞춰 또 다른 능력을 갖춘 인물을 발탁, 새로운 추진력을 불어 넣으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받아들이고 싶다.
그럴 리야 물론 없겠지만 농정책임자의 경질이 혹여 농어촌에 대해 그동안 기울여온 관심의 퇴조로 비쳐져서는 안되겠다.
농정은 어느 나라도 단순한 경제 원칙만이 아닌 정치·사회·안보의 모든 측면이 감안돼 이뤄지는 것이고, 그런 면에서 근래에 보여준 농정에 대한 국민적 관심증대는 매우 귀중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