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역도,「체중3배 시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세계 역도계가 「체중3배」시대에 돌입했다.
역도 용상에서 자기 체중의 3배 이상을 거뜬히 들어올리는 괴력의 사나이들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
터키계 불가리아인으로 최근 민족차별에 항의, 터키로 망명한「나움·살라마노프」(19)는 이 부부의 대표적인 스타.
그동안 세계스포츠과학계의 내노라하는 인체공학전문가들은 역도기록의 한계선은 체중의 3배 미만이라고 주장했었다.
이 한계를 처음 깨뜨린 선수는 불가리아의「스테판·토프로프」.83년10월 모스크바 세계역도선수권대회에서 60㎏급의「토프로프」는 용상에서 1백80㎏을 거뜬히 들어올려 전대미문의「장사의 꿈」을 실현했다.
이에 뒤를 이은 선수가 바로「살라마노프」.
19세의 어린 나이에 키 1m50㎝에 불과한「살라마노프」는 84년 17세 때 56㎏급에서 용상 1백70·5㎏을 마크, 「체중3배」를 넘어선 뒤60㎏급으로 체급을 올려 1백86㎏(85년),1배87·5㎏(86년) 등 연달아 용상기록을 경신, 세계 역도계의 신화적인 존재로 떠올랐다.
「살라마노프」는 지난 7일 열린 월드컵갈라대회(호주 멜번)에서는 인상 세계신기록(1백48㎏)도 수립, 56,60㎏ 양대 체급 전 종목을 석권했다.
기중기(크레인)의 최대인양하중도 몸체무게의 1·2∼1·3배에 불과한 형편이고 보면 이들의 힘은 문자그대로 괴력이랄 수밖에 없다.
권오식 대한역도연맹 경기이사는 『체중의 3배를 들어올리는 것은 정상적인 상대의 선수로서는 불가능하다고 생각된다』며 근육 강화제 주입 등 약물복용의 효과일 가능성을 비쳤다.
또 일부전문가들도『인간에게는 근육의 한계부하를 넘지 않으려는 신체방어본능이 있다』며 그 예외로 화재현장에서 괴력을 발휘해 피신하거나 가족을 구하는 드문 경우를 들고있다. 평소 낼 수 있는 힘의 최대치는 잠재능력의 70%에 불과하지만 위급한 경우 이를 1백%가까이 쏟아내는 경우도 있다는 것.
우리나라의 경우 현 국가대표인 「꼬마역사」 전병관(전주고·52㎏급)이 올해3월 헝가리 파노니아컵대회에서 수립한 용상 1백40㎏기록이 체중의 2·7배로 역대최고이며 82년 이용구(60㎏급)의 용상기록(1백62·5㎏)도 전병관의 기록에 근접하고 있다. <노재희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