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박사 논문 20년간 1편도 없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우리나라 음악도들의 석사논문은 과거 20년동안 78개 대학에서 2천77편이 발표됐으나 박사논문은 한편도 나오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그내용은「작품분석」「음악교육」「작곡가별 양식」에 대한 것이 대부분인데 한국음악에 대한 연구는 전체의 6%미만에 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같은 조사결과는 최근음악평론가 김춘미씨(서울대)가 『문화예술』지(한국문화예술진흥원발행·통권108호)에 발표한『음악분야 석·박사학위논문의 통계적 분석』에서 나타났다.
김씨는 한국에 첫 음악석사학위논문이 발표된 56년을 깃점으로 20년이 된 지금까지의 논문발표현황을 조사했는데 이에 따르면 음악과 및 음악대학을 갖고 있는 학교는 전국 98개 대학중 80%인 78개 대학에 이르며 그중 대학원이 설치된 학교는 29개교, 박사학위과정이 있는 학교는 3개교(이대·연대·숙대)로 집계됐다.
이들 대부분의 음악과들은 기능위주의 실기교육을 지향해 이론전공을 포함하고 있는 곳은 10개대 안팎으로 음악은 곧 기능이라는 우리 음악교육의 풍토를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 김씨의 지적.
이들 논문들은 양악과 국악분야의 현저한 불균형을 드러냈는데 국악분야논문은 6%미만으로 『양분야체험의 필요성과 이를 병행해 연구하는 풍토조성이 시급하다』는 것.
한편 논문의 주제는 「작품분석」이 8백6편(39%),「음악교육」이 3백54편(17%),「작곡가별양식」이 3백20편(15%)등으로 나타나 있으며 서양음악을 대상으로 한 논문중 50%이상이 고전·낭만주의 음악에 관심을 보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러한 석사학위논문들은 56년 6편이 발표됐으나 최근들어 매해 2백∼3백편이 나오고 있으며 대학별로는 이대(3백37편) 서울대(3백30편) 연대(2백57편)순으로 많은 논문이 발표됐다.
이 조사발표는 한국문예진흥원자료 및 국회도서관 석·박사학위총목록등을 바탕으로 작성됐는데 자료가 서로 틀리고 정리도 제대로 돼있지 않아 음악계의 학문발전을 위해 자료의 체계적 정리작업도 전개돼야한다는 것이 김씨의 견해.

ADVERTISEMENT
ADVERTISEMENT